“한·일 양국 가깝고 기술력 높아
기술 교류·인재 육성 함께 고민
日 ‘가격조정 메커니즘’ 도입해
사업자 경제성 확보 지원 계획”
우리나라에는 장기 전력수요 예측 및 이를 위한 설비 확보 계획을 제시하는 전력수급계획이 있다. 이와 비슷하게 일본에도 ‘에너지 기본계획’이 있는데 일본은 지난해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새로 세웠다. 여기서 해상풍력 설비용량을 2030년까지 10GW, 2040년까지 최대 45GW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또 영해만이 아니라 배타적경제수역(EEZ)까지 해상풍력 발전소를 세울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해역이용법도 개정했다. 2023년 12월 기준 해상풍력 발전량이 153㎿에 불과한 일본이 앞으로 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이를 듣기 위해 지난 2일 부산에서 아키요시 마사루 일본풍력발전협회 회장을 만났다.

아키요시 회장이 현재 일본 해상풍력에서 첫 번째로 언급한 문제는 경제성 확보다. 아키요시 회장은 “일본은 매년 정부가 입찰을 실시해 가장 저렴한 가격을 제시한 사업자가 낙찰을 받는다”며 “그러나 경제성의 기준이 되는 비용이 최근 인플레이션과 엔화 약세로 가격 변동이 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에는 대형 풍력발전기를 제조하는 회사가 없어 기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데 인플레이션과 환율 이중고가 사업자에게 악영향을 미친다”며 “현재 정부는 입찰 시 가격과 발주 시점의 가격을 비교해 차액을 정부가 보전하는 ‘가격 조정 메커니즘’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사업자가 져야 하는 가격 리스크가 커질수록 입찰 참여도 줄어들 것이라고 판단했다. 가격 조정 메커니즘을 도입하려는 목적도 보급 사업을 순조롭게 이행하도록 정부가 사업자의 이익 확보를 지원하는 차원이다.
정부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로 ‘얼마만큼 기간 동안 어느 정도 양을 보급할지 수치로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라고 꼬집은 아키요시 회장은 EEZ 활용 계획 역시 지속적으로 해상풍력을 설치하기 위한 일환으로 설명했다. 그는 “작은 섬나라인 일본이 200해리까지 EEZ를 활용하면 일본 해역이 세계에서 6번째로 넓어지고 해상풍력 입지 잠재력도 크게 확대된다”며 “부유식 발전 기술과 송전선로 설치 문제는 과제지만, 군사지역이나 중요한 어장을 피하기 위한 입지 조사는 정부가 진행해 해상풍력 구역을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국 공급망 육성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도, 장기적인 비용 증가와 수입환경 변동성을 줄이려면 피해갈 수 없는 과제다. 일본은 해상풍력 설비 확대와 함께 2040년까지 공급망 국산화 비율을 60%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키요시 회장은 “국산화율이 높으면 가격, 운송비, 납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강점을 갖는다”라며 한·일, 나아가 대만까지 삼국 협력을 강조했다. 아키요시 회장은 “일본, 한국, 대만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서로 각국에서 경쟁력 있는 공급업체와 협력하는 등 3국이 정보를 공유하고 가장 이득이 되는 방식으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아키요시 회장은 “한국과 일본 모두 기본적인 기술력은 높다고 생각하지만, 중요한 것은 계속해서 만드는 것”이라며 “오랫동안 계속 생산해야 기술이 축적되고 인재 육성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두 나라는 가깝고 기술력도 높아서 두 나라가 ‘하나의 시장’이라 보고 공급망을 같이 구축하고, 기술 교류 및 인재 육성에도 함께할 점을 고민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