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극심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서울 일부 고가 아파트의 가격은 오히려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대책 이후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전체의 23.9%에서 12.1%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5억 이하 아파트의 비중은 40.1%에서 50.4%로 늘며 시장이 중저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거래가 줄었음에도 10억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오히려 2.8%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3.6% 급등해 수도권 상승세를 견인했으며, 이 중에서도 30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는 7.3%나 뛰어 신축보다 두 배 가까운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도는 0.5% 상승, 인천은 6.1% 하락해 지역 간 온도 차가 뚜렷했다.
이는 대출 규제로 인해 일반 수요자의 거래는 위축된 반면, 자금력이 있는 수요는 ‘재건축 가능성이 있는 서울 노후 단지’로 집중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분석은 대책 전후(5월 1일∼6월 27일 vs 6월 28일∼7월 중순) 양쪽 시점에서 1건 이상 거래가 있었던 수도권 2377개 단지를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평형 간 가격 변화를 직접 비교해 통계의 착시를 최소화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실수요 억제는 했지만, 자금 여력 있는 일부 수요를 특정 지역·단지로 몰아가며 양극화를 더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며 “시장 전체를 안정시킨다기보다는 ‘살 사람만 사는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