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시내버스 파업 D-1…‘시민의 발’ 멈추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5-27 05:47:32 수정 : 2025-05-27 06:57: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시내버스의 2년 연속 파업 사태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파업 예고일(28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노사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평행선을 달리면서 극단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커졌다.

 

서울의 한 버스 공영차고지에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들이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27일 서울 시내버스 노사에 따르면 양측은 총 9차례의 본교섭과 지난달 29일 임단협 2차 조정회의가 결렬된 이후 최근까지 실무 협의를 했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날 밤까지 협상 시한이 남았으나 노사는 교섭 자리를 마련하는 데조차 엇박자를 냈다.

 

노조(서울시버스노동조합)는 이날 오후 1시에 교섭을 재개하자고 전날 사측(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공문을 보냈다.

 

이후 사측은 이날 비공개로 본교섭을 재개한다고 언론에 공지했지만, 노조는 공문에 대한 공식적인 답변을 받지 못해 합의된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테이블에 마주 앉더라도 워낙 입장차가 크고 조율할 여지가 적어 막판 타결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노사는 통상임금 쟁점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해왔다.

 

사측은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하고 노조의 인상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25%의 임금 인상 효과가 생긴다며, 통상임금 수준을 낮추기 위한 임금체계 개편을 이번 교섭에서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서울시 또한 인건비 부담이 시 재정에 큰 부담이 된다며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노조는 통상임금은 노동자의 권리일 뿐 아니라 법원에서 해결해야 할 사안이므로 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임금 인상률을 우선 협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이날까지 협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예정대로 28일 첫차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서울에서는 389개 노선에서 시내버스 총 7000여대가 운행하고 있다. 노조에는 64개 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쟁의행위에 참여할 수 있는 단체교섭 대상이 되는 회사는 61개 사로 알려졌다.

 

파업 참여율이 높으면 출퇴근을 비롯해 시민들의 발이 묶여 큰 불편이 우려된다. 노조는 작년에도 임금협상이 결렬되자 2012년 이후 12년 만에 파업했다.

 

다만 시의 중재로 임금 인상 4.48% 등을 뼈대로 하는 합의안을 도출해 노조는 11시간 만에 파업을 철회하고 정상 운행으로 복귀했다.

 

올해는 통상임금 체계 개편이 쟁점인 만큼 작년과 달리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노조는 통상임금 문제로 사측과 개별 소송도 진행 중이다.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26일 서울 송파구 서울시교통회관 앞에서 연 파업 출정식에서 조합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 역시 일단 파업에 돌입하면 최소 3일 이상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시는 원칙적으로 협상은 노사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대책을 수립했다.

 

파업 시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지하철 하루 운행을 173회 늘리고 막차 운행 시간을 연장한다.

 

자치구에서는 주요 거점 및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다른 지자체의 동시 파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이 22개 지역별 산하 버스노조의 임단협 협상 결렬 시 28일 동시 총파업을 하겠다고 예고했기 때문이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