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유네스코에 50억원 공여… 세계 무형유산 보호 돕는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5-25 09:49:09 수정 : 2025-05-25 10:00:5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 세계의 전통 지식과 문화 등 무형유산을 보호·전승하기 위해 정부가 힘을 보탠다.

 

국가유산청은 23일 (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유네스코 본부에서 무형유산보호협약 신탁기금 공여를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정에 따라 국가유산청과 유네스코는 무형유산 보호·전승에 앞장서는 모범 사례를 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협력한다.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왼쪽)과 에르네스토 오토네 라미레즈 유네스코 문화사무총장보가 무형유산보호협약 신탁기금 공여를 위한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이 사업을 위해 향후 5년간 매년 10억원의 신탁기금을 공여할 예정이다. 한국이 유네스코 무형유산 분야에서 별도 기금을 조성하는 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무형유산 보호·전승 모범 사례를 통해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네스코는 2003년 채택한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국의 무형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올리고 있다.

 

한국이 보유한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총 23건으로 무형유산보호협약 가입국 184개국 중에서는 중국(39건), 튀르키예(28건), 프랑스(26건)에 이어 4번째로 많다. 

 

한국 정부는 2026년도 세계유산위원회 유치도 목표하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세계유산 신규 등재와 보존 현황 점검·관리 등 주요 업무를 결정하기 위해 매년 열리는 정부 간 위원회를 일컫는다. 1977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위원회가 열린 이래 한국에서 개최된 적은 없다.

 

아시아에서는 태국 푸껫(1994), 일본 교토(1998), 중국 쑤저우(2004), 캄보디아 프놈펜·시엠레아프(2013)에서 열린 적이 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확대하면서 국제 유산 분야에서 선도적인 노력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박태해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