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엔 12일 이어 두번째 사과
“尹처럼 쉽게 계엄하진 않을 것”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2·3 비상계엄’에 대해 사과의 뜻을 재차 표현했다. 김 후보는 다만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만장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 결정한 것은 “김정은이나 시진핑 같다”고 평가했다.

김 후보는 15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에서 “설사 헌법에 보장된 대통령 비상대권이라도 경찰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국가적 대혼란이 오기 전에는 계엄권이 발동되는 건 적절치 않다”며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관련해 사과의 뜻을 표한 것은 지난 12일 채널A 인터뷰 이후 두번째다. 당시 그는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께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했다.
그는 이날도 “제가 미리 알았다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계엄은 안 된다’며 안 되는 이유를 조목조목 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계엄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됐다고도 했다.
그는 “지방에 다니면 시장에서 장사하는 분들이 장사가 더 안 된다고 하는데,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계엄도 체감할 원인 중 하나”라며 “어렵게 장사하는 분들, 생활이 어려워진 많은 분, 마음이 무거운 분들, 국론 분열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서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윤 전 대통령처럼 비상계엄을 ‘쉽게’ 행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계엄에 대한 제 입장은 시종일관 확고하다. 제가 대통령이 돼서 비상대권으로 계엄 선포권이 주어져도 저는 극도로 다른 경우, (윤 전 대통령과는) 다른 생각으로 행사하지, 쉽게 계엄권을 행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그러나 헌재가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할 당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이었던 것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탄핵)도 ‘8대 0’이었다. 만장일치를 계속하는 건 김정은(북한)이나 시진핑(중국) 같은 공산국가에서 그런 일이 많다”며 “대한민국은 위대한 자유민주주의 국가다. 다양한 의견이 공존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지 못하는 헌재는 매우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과 관련해선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며 “대통령 후보로 나선 제가 ‘탈당하십시오, 마십시오’ 이런 이야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