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비트코인 ETF 비축 필요”
1825만 투자자 겨냥 활성화 카드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여야 유력 후보들이 가상자산 관련 공약을 전면에 내세우며 청년층 표심 잡기에 나섰다. 양당의 후보들은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비롯해 거래수수료 인하, 1거래 1은행 규제 철폐 등 전향적인 정책들을 잇달아 내놓으며 1825만명에 달하는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들을 겨냥하고 있다.
14일 금융투자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21대 대선 공약으로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ETF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현물 ETF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ETF다. 가상자산에 직접 투자하지 않아도 주식처럼 증권계좌로 손쉽게 투자할 수 있다. 지난해 미국, 홍콩, 영국 등이 가상자산 현물 ETF를 승인하면서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6일 발표한 청년층 공약에서 ‘가상자산 현물 ETF 제도화’를 발표했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며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하고, 통합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상자산 거래수수료 인하와 함께 원화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의 필요성도 밝힌 상태다.
김 후보는 10대 공약 중 다섯번째로 ‘중산층 자산 증식 프로젝트’를 제시하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공식화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디지털 가상자산 7대 공약’을 발표하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 외에도 △1거래 1은행 규제 철폐 △스테이블 코인 규율 체계 △디지털자산육성기본법 △토근증권(STO) 발행 법제화 등을 제안했는데, 김 후보가 이를 모두 받아들여 핵심 공약으로 발표한 것이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최근 SNS를 통해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되 비중을 너무 높이지 말고 ETF 등의 형태로 보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위험이 금융 시스템으로 전이될 우려가 있다며 가상자산 현물 ETF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후보들의 가상자산 관련 공약에 대해 “다음 정부가 들어오면 공약 이행 과정에서 저희가 가진 생각과 조율해 나가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