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전에도 ‘오월걸상’ 설치된다…대전시 부지 불허 제동 ‘편협 행정’ 반발

입력 : 2025-04-23 18:59:04 수정 : 2025-04-24 17:40: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5·18 민주정신’을 되새기고 희생자를 기리는 ‘오월걸상’이 대전에도 건립된다. 그러나 건립 부지를 두고 추진위와 대전시가 마찰을 빚으면서 대전시의 ‘발목잡기’ 논란이 일고 있다. 이장우 시장 취임 이후 5·18 참배묘역 예산 전액 삭감에 이어 오월걸상 부지에도 어깃장을 놓자 5·18민주화운동마저 정치적 도구로 삼는 ‘편협한 행정’을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오월걸상대전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추진위는 내년 5·18민주화운동 46주년을 기념해 오월걸상 설치를 추진 중이다. 위치는 대전 중구 서대전광장을 구상하고 있다. 애초 올해 세우려고 했으나 탄핵 정국 속 설치 기간이 촉박해 1년 순연했다.  

 

경기도청 앞 오월걸상 모습. 경기도 제공

오월걸상은 한국 민주주의가 5·18을 분기점으로 성장했다는 의미를 담았다. 의자 형태로 제작돼 누구나 잠시 앉아 편히 쉬면서 민주주의를 되새기자는 뜻도 담겨 있다. 오월걸상 설치는 광주라는 지역적 경계선과 1980년이라는 시대적 한계를 뛰어넘어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전국화·현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 3월 오월걸상위원회가 출범한 뒤 이듬해 1월 부산 롯데백화점 앞에 1호 오월걸상이 세워졌으며 목포역 앞, 지난해 5월 서울 명동성당 앞, 경기도청 앞 등 현재까지 9호에 이르고 있다. 내년 대전에 설치되면 열 번째가 된다. 규모와 형태는 각 지역별 특색을 담아 제각각이다. 경기도청 오월걸상은 홍성담 화백의 판화작품 ‘횃불행진’을 담았고, 모란공원 앞 오월걸상은 이승수 화가의 작품으로 검은색과 흰색으로 화합의 대동(大同)을 표현했다.  

 

대전추진위는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해 오월걸상 규모와 디자인을 대전 특성에 맞게 형상화할 계획이다. 건립비용은 시민 성금으로 모은다. 다음 달부터 내년 4월까지 5000만원 모금이 목표다. 

 

박희인 대전추진위원장은 “서대전광장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과 학생이 모여 투쟁한 지역 민주화운동의 거점이었다”며 “걸상이다 보니 사람들 삶에 가까이 다가가는 5·18을 형상화하기 위해 부지를 이곳으로 결정했다. 지역 독립운동가인 단재 신채호 동상이 세워져 있어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전시가 서대전광장 사용 허가를 내주지 않으면서 건립에 제동에 걸렸다. 

 

대전시는 서대전광장 성격상 민간단체가 만든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대전광장은 중구가 관리·감독하지만 소유자는 대전시이다. 

 

시 관계자는 “서대전광장은 일반광장으로 시설물을 설치하려면 관련법에 의거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자체의 계획시설일 경우에만 설치를 허가하게 돼있다”며 “신채호 동상은 2019년 대전시가 세운 것이고, 일반단체에서는 서대전광장에 시설물을 세울 수 없다”고 말했다. 

 

추진위는 이 같은 대전시의 회신 배경엔 이 시장의 ‘정치적 편향 행정’이 자리 잡고 있다고 보고 있다. 대전시는 이 시장 취임 후 2년 연속 5·18 묘역 참배 예산을 삭감했다. 대전시는 매년 5·18민주묘역 참배 보조사업비로 360여만원을 지원해왔다. 

 

추진위는 대안으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 앞에 세우는 것을 살펴보는 한편 서대전광장 설치에 대해 대전시에 추가적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다. 추진위는 다음달 7일 오월정신 주간을 선포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오월걸상 제작·설치 계획과 추진 일정 등을 알릴 예정이다. 박 위원장은 “5·18은 국가기념일인데 이장우 시장이 유독 편협한 행정을 하고 있다. 대전시에 재검토를 촉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