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 희토류 7종 수출 통제… 韓 첨단산업 영향 우려

입력 : 2025-04-08 06:00:00 수정 : 2025-04-07 19:21: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원료 자체 금수… 공급망 비상 걸려
정부 “비축 물량 파악 대응책 마련”

중국이 미국의 관세부과 보복조치로 희토류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하면서 그 불똥이 한국으로 튈 모양새다. 정부는 국내 희토류 비축 상황을 점검하고 사태 악화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4일 미국에 대한 34%의 보복 관세 부과와 전 국가 대상 희토류 7종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희토류 7종은 △사마륨(코발트 자석 재료) △가돌리늄(조영제 재료) △테르븀(형광체 원료) △디스프로슘(모터나 전기차용 자석 재료) △루테튬(방사선 치료에 활용) △스칸듐(알루미늄 합금용 항공기 부품 등 재료) △이트륨(고체 레이저 재료)다.

 

희토류

희토류는 첨단기술 분야 필수 원자재로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며 가공 및 정제 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90%에 육박한다.

한국 정부는 수년 전부터 중국의 자원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앞서 중국은 2023년 12월에도 희토류 가공 기술에 대해 수출 금지 조치를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중국의 수출 통제 조치는 희토류 원료 자체에 대한 것이어서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후 서울에서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관련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업계 및 유관기관과 국내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요 업체별 희토류 비축 물량을 파악해 대응 전략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