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관련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며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여러분은 이 말을 듣기를 싫어하지만,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라면서 "나는 그와 환상적으로 잘 지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2017년 집권 1기 초기에 김 위원장을 ‘리틀 로켓맨’으로 언급했던 상황 등을 거론하면서 “어느 날 그들이 만나고 싶다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라면서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이고 매우 스마트하다”라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소통'과 관련해서 추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두 달여 만에 이미 김 위원장과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을 하면서 향후 미북 대화 등의 분위기도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도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두고 ‘큰 핵 국가’라며 북핵을 용인하는 듯한 언급을 하면서 향후 북핵을 사실상 묵인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미국에 대한 위협만 제거하는 선에서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를 해줄 수 있다는 ‘스몰 딜’ 우려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국정 공백 속 미북 대화에 우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한국 패싱’ 관측도 거세질 전망이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다소 교착 상태에 놓인 상황에서 러시아를 지원하는 북한과 소통을 하고 있다고 언급을 함으로써 러시아를 움직이려는 전략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는 나온다.
한편, 미국 국방부가 본토 방어와 함께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를 미군의 최우선 목표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도 대만 방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도록 압박할 수 있다는 미국 전문가의 분석이 31일(현지시간) 나왔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앤드루 여 한국 석좌는 한나 포어먼과 함께 홈페이지에 게재한 '대만해협 비상 상황에 한국은 자신의 역할을 정의할 준비가 됐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주한미군이 어떤 조건 아래 대만에 배치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한미연합사가 중국으로부터의 반격이나 북한의 도발에 대비해 한반도에서 방위와 억제를 보장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또 평택과 오산, 군산을 비롯해 한국에 위치한 미군 기지가 대만 위기시 어떻게 이용될지 등에 대한 논의도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