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체질 개선 매진한 정용진 “본업 경쟁력 높여 성장 가속화”

입력 : 2025-03-06 06:00:00 수정 : 2025-03-05 23:45:46
이정한 기자 ha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취임 1주년 맞아 청사진 밝혀

‘신상필벌’ 원칙으로 내실 다져와
올 시장선도군 지배력 높이기 박차
이마트, 3곳 신규 오픈 차별화 전략
스타벅스도 100곳 이상 추가 개점
지마켓, 알리바바와 협업 동력 마련
SSG도 신선식품 강화 수익성 개선

정용진(사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회장 취임 1주년을 앞둔 5일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성장 페달을 밟겠다”고 밝혔다. 최근 수년간 내실 다지기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본격적인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 그룹의 미래 청사진을 밝히겠다는 뜻이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지난해 3월8일 회장으로 승진한 뒤 신세계그룹 사업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취임 직후 실적이 부진한 신세계건설 대표를 경질했고, SSG닷컴과 지마켓 대표를 같이 바꿨다. 정 회장은 경영전략실에 ‘조직부터 시스템, 업무수행 방식까지 다 바꾸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1년간 진행된 정 회장의 그룹 체질 개선은 일부 안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는 시장을 선도하는 사업군은 시장 지배력을 높이고 실적이 부진한 사업군은 부실 요소를 덜어내 경영 정상화에 힘쓸 방침이다.

신세계그룹 매출 상위인 이마트, 백화점, 스타벅스가 성장을 이끈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가 부상하며 유통업계 경쟁 구조가 변화하면서 효율화에 나섰던 이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을 출점해 덩치를 키운다. 이마트 매장은 2020년 160개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까지 감소해 왔다. 이마트는 올해 2월 서울 강서구에 문을 연 마곡 트레이더스를 시작으로 강동구 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인천 트레이더스 구월점을 차례로 오픈한다. 올해 신규 매장 3곳에 이어 2027년까지 3곳 이상을 추가로 개점한다.

온라인 상품 구매가 일상화된 가운데 오프라인 매장은 차별화에 집중해 고객들을 끌어들일 방침이다. 식료품(그로서리)을 강화하고 대량 매입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인다. 사상 첫 연매출 3조원을 넘어선 스타벅스는 올해 새 점포를 100곳 이상 낼 예정이다. 지역 명소와 어우러지거나 이색적인 공간을 구성한 스페셜 스토어도 늘릴 계획이다.

실적이 악화했거나 전망이 좋지 않은 사업군은 부실 개선에 나선다. 지난달 상장폐지를 결정한 신세계건설은 의사결정 체계를 개선하고 중장기 사업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수립하기로 했다. 이커머스 경쟁 속에서 힘겨운 운영을 이어가고 있는 지마켓은 알리바바와 손잡고 성장 동력을 마련한다. 정보기술(IT) 역량과 막대한 자금력을 가진 글로벌 빅테크와 국내 판매자들을 보유한 지마켓이 힘을 합쳐 국내외 이커머스 시장에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회장은 “외부와의 적극적인 협업은 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처음으로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흑자를 달성한 SSG닷컴은 새벽 배송을 전국으로 넓히며 물류 경쟁력을 강화한다. 온라인 신선식품과 명품 판매에 집중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이마트24는 이마트의 자체 브랜드 ‘노브랜드’ 도입 점포를 지속해서 늘려가기로 했다.

성과를 낸 조직과 임직원에게는 확실히 보상해 주고 그렇지 못하면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는 정 회장의 ‘신상필벌’ 원칙은 올해도 그룹 경영 전반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이날 정 회장은 “그룹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고 성장을 위한 가속 페달을 밟기 위해 신상필벌에 입각한 인사는 필수”라며 “변화와 도전으로 성과를 낸 조직 구성원에는 합당한 보상을 하며 혁신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한 기자 h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