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회서 이익 공유모델 제시
전남도가 재생에너지 이익 잉여금을 재원으로 도민 1인당 50만원의 ‘에너지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시책을 쏘아 올린다. 지역의 풍부한 태양광·풍력 자원을 바탕으로 모든 도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햇빛·바람연금을 지급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나아가 균형발전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전남도는 다음달 5일 국회에서 에너지 기본소득을 주제로 포럼을 열고 실행 계획안을 담은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에너지 기본소득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거둔 이익을 도민과 공유하는 것이다.
전남은 전국 1위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보유하고 있을뿐더러 국가 재생에너지 발전목표(180TWh)의 37%를 책임질 정도의 풍부한 발전량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토대로 재생에너지를 운반하는 인공지능(AI) 전력망을 확충해 계통 포화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해상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과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전남도가 추진 중인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유치,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재생에너지가 많아야 전력 다소비 기업인 첨단 글로벌 기업을 전남에 적극 유치할 수 있고 이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입,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