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공연예술시장 규모는 약 1조4227억원으로 2022년보다 46% 이상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기간 움츠렸던 공연예술 수요가 폭증한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올해는 고물가 영향 등으로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관객들의 공연장 발걸음이 줄었을 것이란 시각이 많아 지난해와 같은 활황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2023년 기준 연극·뮤지컬·서양음악(클래식)·한국음악(국악)·무용·복합 장르의 시장 규모와 운영, 인력, 재정 현황 등을 조사한 ‘2024 공연예술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공연 시장 매출은 전년도 9725억원보다 46.3% 증가한 1조4227억원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약 8530억원)과 비교해도 66.8%나 뛰었다. 공연장 활성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공연장 가동률은 54.5%로 2022년 50.2%보다 4.3%포인트 높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8월1일부터 9월13일까지 전국 공연시설과 공연단체 5667개 모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조사다. 공공 공연시설과 단체는 전수조사를, 민간 공연시설과 단체는 표본조사를 시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공연시설 ±5.9%포인트, 공연단체 ±3.4%포인트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