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그냥 쉬는’ 청년 40만 명으로 증가세… 구직단념도 늘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06-23 11:40:40 수정 : 2024-06-23 11:40:39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일을 하지 않고,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이 4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희망하지만, 원하는 일자리를 못 찾을 것 같아 취업을 접은 ‘구직 단념’청년도 올해 들어 다시 증가세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에 따르면 지난 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1년 전보다 1만3000명 늘어난 39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쉬었음’은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이다.

 

지난 달 ‘쉬었음’ 청년은 5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2020년(46만2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4.6%에서 4.9%로 뛰었다. 청년 인구가 줄었음에도 ‘그냥 쉰’ 청년은 늘어난 탓이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지난달 증가로 돌아섰다.

 

지난해 줄어든 ‘구직 단념’ 청년도 올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다.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5월 기준으로 2022년 13만6808명을 기록한 뒤 지난해약 3만명 줄었지만 올해 다시 늘어났다. 청년 고용시장의 활력 저하는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고착화하는 모양새다. 2010년 27만4000명 수준이었던 ‘쉬었음’ 청년은 2020년 64% 늘며 44만8000명까지 증가했다. 이후 2022년(39만명)까지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40만1000명을 기록하며 다시 40만명을 넘어섰다.

 

청년 인구 감소세에도 ‘쉬었음’ 청년은 올해 들어서도 4월까지 40만∼44만3000명을 오르내리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