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를 발전 연료로 사용하여 생산한 전기를 사고파는 시장이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한다고 24일 밝혔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수소 또는 수소화합물(암모니아 등)을 연료로 생산된 전기를 구매·공급하는 제도다. 무탄소전원인 청정수소 발전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청정수소 간 비용 경쟁을 통해 경제성 있는 가격으로 청정수소를 조달하기 위한 것이다.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은 국내 청정수소 인증 기준인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CO2e 이하를 충족한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기만 참여 가능하다. 올해 입찰물량은 6500GWh(기가와트시), 계약기간은 15년이다. 발전사업자는 구매량에 대한 경쟁입찰을 통해 한국전력이나 구역전기 사업자, RE100(재생에너지 100%) 기업 등 자발적 구매자에 공급한다.
실제 발전은 사업 준비기간 3년을 거쳐 2028년까지 개시해야 한다.
참가자들이 입찰서를 제출하면 발전단가인 가격 지표와 청정수소 활용 등급, 연료 도입의 안정성, 산업경제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오는 12월 최종 낙찰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청정수소 활용 등급은 4개 등급으로 1등급(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0.1㎏CO2e 이하) 35점, 4등급 1점 등으로 점수 차이를 둔다.
지난해 첫 개설한 일반수소발전 입찰도 올해 진행한다. 청정수소발전과 달리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추출수소, 부생수소 등을 사용한 사업자도 참여할 수 있다.
입찰물량은 1300GWh, 계약기간 20년이다. 실제 발전은 2026년까지 개시해야 한다. 가격 지표와 전력계통 영향,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평가해 8월쯤 최종 낙찰자를 정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