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생산량 최대 2만9500배럴
국내 하루 석유소비량 1% 넘어
에너지 영토 넓혀 안보 기여 기대
SK이노베이션의 자원개발 자회사인 SK어스온이 2015년 참여한 남중국해 해상 광구에서 원유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SK어스온이 운영권을 확보한 광구 중 실제 원유 생산에 성공한 첫 사례다. 자원 확보를 통한 국내 에너지 안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어스온은 25일 남중국해 북동부 해상에 위치한 17/03 광구 내 LF 12-3 유전에서 지난주부터 원유 생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여의도 면적의 15배인 17/03 광구는 중국 선전시에서 약 300㎞ 떨어져 있다.

일일 생산량은 석유 생산 정점을 기준으로 약 2만9500배럴이다. 3만ℓ 유조차 160대 분량이자 70ℓ 중형휘발유 차량 7만대 주유 가능한 양으로, 국내 하루 석유 소비량의 1%가 넘는다. 원유 생산 초기라 아직 구체적인 판매처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광구 위치 특성상 국내로 들여오지 않고 중국 등 아시아지역에 판매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SK어스온은 2015년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해양석유집단유한공사(CNOOC)와 광권 계약을 체결,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남중국해 해상 광구 사업에 뛰어들었다.
2018년 탐사정 시추에서 원유 발견에 성공했는데, 이번 원유 생산은 독자적인 운영권 탐사사업에서 원유를 발견·개발·생산까지 이어진 최초의 사례로 의미가 크다. SK어스온은 자체 기술력을 통해 초기 탐사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아울러 LNG(액화천연가스) 연료 추진 선박 도입, 신재생에너지 동력 사용을 검토하는 등 이산화탄소 저감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17/03 광구는 정부 에너지 융자 지원사업의 성공 사례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1984년부터 자원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융자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SK어스온은 17/03 광구 생산 이후 정부의 융자 원금 및 이자를 상환하게 되고, 원리금 상환이 완료된 후 특별부담금 형태로 일정 기간 이익금 일부를 정부와 공유한다.
2021년 SK이노베이션에서 분사한 SK어스온은 석유개발사업과 그린사업의 두 축을 기반으로 성장해 왔다. SK어스온은 8개 국가에서 10개 광구 및 4개의 LNG프로젝트에 참여 및 관리하고 있으며, 10개 광구의 생산량은 일일 약 5만2000배럴(석유환산기준)이다. 그린사업 영역에서는 석유개발을 통해 축적한 탐사기술을 기반으로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사업을 추진 중이다.
명성 SK어스온 사장은 “1983년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든 이래 40년간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원유 생산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석유개발사업과 함께 CCS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탄소 중립과 성장이라는 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