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기업 자금사정 개선...“자금조달 증가탓...기준금리 오르면 부담 증가할 것”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7-24 09:30:18 수정 : 2023-07-24 09:30:16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올해 차입금 증가로 자금사정이 개선됐다는 대기업이 늘었다. 대기업 10곳 중 9곳이 은행 등 간접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을 늘린 결과다. 이에 기준금리가 추가로 오르면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사진=연합뉴스

◆자금사정 개선...차입금 증가 탓

 

24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107개사 응답)으로 ‘자금사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자금사정이 호전됐다’는 기업은 31.8%로, ‘악화됐다’는 기업(13.1%)보다 18.7%포인트 높았다.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일부 개선된 배경으로는 영업이익 증가로 인한 유보자금의 증가가 아니라 차입금 증가에 기인한다고 추정했다.

 

실제 올해 1분기 중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52.9%나 급감한 반면, 회사채 발행·은행 차입 등 직·간접금융 시장을 통한 차입금 규모는 10.2% 증가했다.

 

응답 기업 10개사 중 약 9개사(86.9%)는 올해 들어 은행 등 간접금융을 통한 자금 조달이 증가했다고 답했고, 응답 기업 과반(52.4%)은 회사채 등 직접금융 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증가했다고 했다.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 영업이익 및 차입금 증감을 따져보니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50조5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 23조8000억원으로 반토막났는데, 차입금은 지난해 1분기 660조9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 728조100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기준금리 3.5%에서 더 오르면 부담 증가

 

대기업의 자금사정이 개선됐지만 차입금 때문이라서 이자가 더 오르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를 묻는 질문에서 응답기업의 대부분인 86.0%는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인 3.50%를 꼽았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차입금 규모가 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추가 인상해도 시중금리 상승으로 상당수 기업이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준금리 임계치별 기업들의 응답비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준금리 3.5%(응답비율 86.0%), 3.75%(1.9%), 4.0%(7.5%), 4.25% 이상(4.6%)으로 조사됐다.

 

지난 2년 동안 기준금리가 3.0%포인트(2021년 7월 0.5%→ 2023년 7월 3.5%) 인상된 이후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은 평균 13.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2년 전에 비해 금융비용이 5%∼10% 증가했다는 응답비중이 30.9%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10~15% 증가(24.3%), 0~5% 증가(14.0%), 20~25% 증가(9.3%) 순으로 조사됐다.

 

◆“하반기에 자금수요 증가할 것”

 

올해 하반기 기업들의 자금수요는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35.5%)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5.6%)을 크게 웃돌았다. 자금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설비투자(38.7%)가 가장 많았고, 원자재‧부품 매입(32.3%), 차입금 상환(11.2%), 인건비‧관리비(10.5%) 등의 순이었다.

 

자금조달 시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 기업들은 환율리스크 관리(32.4%)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는 대출금리 및 대출절차(32.1%), 정책금융 지원 부족(15.9%) 등을 지적했다.

 

기업들의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34.3%), 정책금융 지원 확대(20.6%), 장기 자금조달 지원(15.9%), 경제주체의 금융방어력을 고려한 금리인상(15.6%)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은 경기침체․수익성 악화로 차입금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금융비용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하반기 설비투자 목적 등으로 자금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투자활성화 차원에서라도 향후 기업 금융부담 완화를 위한 신중한 통화정책 운용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