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와 조선 시대에 입던 옷이 당시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유행을 주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21일 발표문 ‘명나라의 조선 드레스 열풍과 조선 전기 여성 한복’에서 마미군(馬尾裙) 사례를 거론하며 “15세기 조선의 옷이 명나라의 부유층 패션을 휩쓸었다”고 주장했다. 마미군은 말총으로 만든 여성의 속옷, 즉 페티코트(petticoat)를 일컫는다. 치마 안에 받쳐 입는 속치마로, 바깥에 입는 치마를 풍성하게 부풀려 주는 역할을 했다.

구 연구위원은 명나라 시기에 나온 저술인 ‘숙원잡기(菽園雜記)’ 등을 토대로 “조선의 마미군은 해상 교역을 통해 명나라 최고의 패션 도시인 쑤저우(蘇州)에 전해졌다. 이후 상하이(上海) 등 강남 지역사회에 마미군 열풍이 일면서 강남 여성은 물론, 고위급 남성 관료들까지 입어 명나라 정부에서 우려를 나타낼 정도였다”고 짚었다.
재단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공동 주최한 이날 ‘한국 복식 문화사: 한국의 옷과 멋’ 학술회의에서는 마미군에 앞서 14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복식 문화와 생활 양상인 ‘고려양(高麗樣)’도 다뤘다. 김윤정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은 발표문에서 “14세기 원 궁정에서 유행했다고 하는 ‘방령에 허리까지 오는 반비’는 모난 맞깃이 달리고 허리까지 오는 짧은 소매의 덧옷을 뜻하며, 고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