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세대 무인기·비행체로 미래 전장 지배한다 [K방산 특집]

입력 : 2023-06-23 02:24:57 수정 : 2023-06-23 02:24:56

인쇄 메일 url 공유 - +

KAI

미래 전장의 화두는 ‘무인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면 다양한 무인기와 드론이 전장의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력 자원 감소로 향후 사람을 대신할 각종 무인 무기체계가 대거 도입될 전망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올해 1월 ‘글로벌 KAI 2050’ 비전을 발표했다. 1991년 우리 군 최초의 국산 무인기 RQ-101 ‘송골매’를 만든 KAI는 특히 차기 군단 무인기와 차세대 무인기 연구개발(R&D)에 매진하고 있다. 2002년부터 양산된 RQ-101은 무인기의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국산 무인기 시대를 열었다. KAI가 2012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개발 중인 차기 군단 무인기는 육군 군단의 작전지역을 감시 및 정찰하는 장기 체공 무인기다. 광학 및 적외선센서(EO/IR),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 등 다양한 임무 장비 탑재와 위성통신을 통해 기존의 작전 범위를 뛰어넘는 고성능을 자랑한다.

KAI가 개발 중인 캐니스터형 무인기는 헬기에 탑재가 가능하다.

유·무인 복합체계는 무인화의 정점에 있는 무기체계다. 유인 체계와 무인 체계가 융합되어 전투 효과를 극대화한다. KAI는 2021년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서 헬기 ‘마린온’에 내장형 무인기를 장착하고 무인기 통제사가 탑승하는 유·무인 복합체계를 선보여 이목을 끌었다.

KAI가 R&D에 나선 다목적 소형 무인기의 경우 전투기와 짝을 이뤄 적 방공망 기만, 감시 정찰 및 전자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향후 FA-50과 KF-21 보라매에 적용되면 전투기 성능을 향상하는 동시에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 헬기에 탑재가 가능한 캐니스터(Canister)형 무인기 개발을 통해 국산 헬기 수리온과 소형 무장헬기(LAH)의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축하고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KAI는 2022년 12월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소형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 설계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정찰, 통신, 공격 등 다양한 임무를 위한 각각의 장비 교체가 가능하도록 모듈화한 날개 접이식 소형 무인기를 개발해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육·해·공군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 튜브 발사식으로 설계된다. KAI 관계자는 “이렇게 확보한 기술은 미래 전장에서 활용될 공중 발사 드론, 유·무인 복합체계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