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길어지는 소 사육기간 단축 … 사료비 증가·환경 문제 잡는다 [농어촌이 미래다-그린라이프]

관련이슈 농어촌이 미래다-그린 라이프

입력 : 2022-07-01 02:03:24 수정 : 2022-07-01 02:03: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농식품부,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 착수

한우 통상 30개월 사육… 20년 새 7개월 증가
농가는 생산비·소비자는 가격 부담 상승
분뇨·탄소 배출량 늘어 환경 문제도 야기

정부, 소 출하월령 30→24개월 단축 계획
송아지 대상 실증시험… “등급 하락 최소화”
“마리당 온실가스 25%↓·사료비 100만원↓”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보가 지난 15일 경기 안성시 농협 안성목장에서 소를 살펴보고 있다. 같은 날 농식품부는 안성목장에서 '탄소중립 시대, 한우 산업의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제로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 착수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한우 사육 기간은 고품질·수익극대화를 추구하는 시장 분위기에 따라갈수록 장기화하는 추세다. 통상 30개월 수준으로, 20년 전과 비교해 7개월가량 늘어났다. 사육 기간 장기화는 사료비 증가로 인한 한우 농가의 경영 부담 가중은 물론 분뇨·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등 환경 문제가 뒤따른다. 이에 정부는 한우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소 사육 기간을 단축하는 시범사업에 나섰다.

◆‘육질형’·‘육량형’ 맞춰 최적 출하월령 산출 목표

농림축산식품부는 소 사육 비용을 낮추고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단기 사육 모델을 개발하는 ‘소 사육방식 개선 시범사업’에 착수했다고 1일 밝혔다. 유전형질에 따른 최적의 출하월령을 산출하고, 사육 기간 단축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사업은 소 사육 기간이 품질 제고 등의 이유로 점차 길어지고, 곡물 사료 의존도도 심화하는 등 고투입·장기사육 구조가 고착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됐다. 이 같은 구조가 농가 생산비 증가 및 소비자의 소고기 가격 부담 상승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비육우(고기소) 사육 기간은 2000년에는 23개월 정도였으나 이후 점차 길어져 2010년에는 28개월, 2020년에는 30개월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한우 거세우 도축월령별 비중을 보면, 29∼31개월 사이 도축되는 비중이 51.5%로 절반을 넘었고, 32개월 이상(30.3%), 28개월 이하(18.2%) 등의 순이었다.

최근 국제적인 곡물가 상승으로 사료 가격이 오르면서 한우 농가의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는 점도 사업 착수 배경 중 하나다. 사료비는 비육우 전체 생산비 중 가축비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할 만큼 농가 수익성에 직결되는 부분이다.

◆갈수록 증가하는 축산 온실가스 배출량에도 대응

환경적인 측면에선 소 장기 사육방식 등으로 인해 분뇨와 온실가스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사회적 후생 및 국내 소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문제로 꼽힌다. 축산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1년 840만tCO2-eq(이산화탄소환산량·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값)에서 2017년 860만tCO2-eq로 증가했고, 2030년에는 1100만tCO2-eq, 2050년에는 1160만tCO2-eq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축산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만 놓고 봤을 때 국내 전체 발생량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소 사육 규모 확대 등으로 배출량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사전에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소 적정 사육 기간을 산출해 출하월령을 지금보다 2∼6개월 단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소 출하월령이 30개월에서 24개월로 줄어들 경우 현재 사료비와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등을 토대로 단순 환산해보면 마리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5% 감소하고, 사료비는 100만원가량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송아지 600마리 대상 시범사업…“도체중·등급 하락 최소화”

시범사업은 가축시장 등에서 거래되는 6개월령 송아지 600마리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유전능력 평가 등을 통해 ‘육질형’과 ‘육량형’으로 구분해 입식하며, 유전형질별로 각각 24∼30개월령 사육 기간에 맞춰 송아지를 배치해 사양 실증시험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1++ 등급’ 출하가 가능한 개체인 육질형은 현행 30개월에서 26∼28개월로, 그 외에 1등급 내외로 출하가 예상되는 개체인 육량형은 24∼26개월로 출하월령을 단축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실증시험은 유전능력과 사육 기간, 영양 수준, 사료 종류 등 4개 항목에 대해 추진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유전능력 맞춤형 사양관리 프로그램 개발 △탄소 배출량 조사·연구 △송아지 유전능력 평가 시스템 고도화 △단기비육 한우육 품질 수준 조사 △축산 주요국 및 국내 사육 기간 단축 사육방식 조사 △마케팅 전략·상품성·시장성 확대 방안 조사 등 6개의 병행추진과제도 실시한다. 사업 기간은 3년(2022∼2024)으로, 최종 시험성적 등을 바탕으로 소 단기 사육 모델을 마련해 2025년부터 농가에 보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실증시험은 농협사료 안성목장에서 진행된다.

다만 축산업계에서는 이번 시범사업을 놓고 출하월령이 짧아질 경우 소의 등급이 하락하거나 도체중이 줄어들지는 않을지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단기 사육방식 도입으로 인해 농가소득이 하락하는 일은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실증시험을 하는 이유 자체가 사육 기간을 단축했을 때 우려되는 도체중·등급 하락을 막을 방법을 경제성이 있는 수준에서 찾기 위한 것”이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육해보고, 특정 방식으로 사육했을 때 그나마 도체중·등급 하락률이 낮다고 하면 그 방식을 농가에 보급하고자 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혜윤 '사랑스러운 볼하트'
  • 김혜윤 '사랑스러운 볼하트'
  • 채수빈 '매력적인 미소'
  • 조보아 '아름다운 미소'
  • 아이브 장원영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