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개 식용 종식’ 주장한 김건희 여사 “먹는 나라 韓·中뿐, 건강에도 좋지 않아”

입력 : 2022-06-14 06:00:00 수정 : 2022-06-14 09:47:37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동물학대와 유기견 방치, 개 식용 문제 등에서 구체적 성과 나오길 바라”
윤석열 대통령(오른쪽 사진)과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28일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반려견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다. 페이스북 건희사랑 갈무리

 

윤석열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가 13일 언론 인터뷰에서 “경제 규모가 있는 나라 중 개를 먹는 곳은 우리나라와 중국뿐”이라면서 개 식용 종식을 주장했다.

 

김 여사는 이날 공개된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윤석열 정부에서) 동물학대와 유기견 방치, 개 식용 문제 등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오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여사의 첫 언론 인터뷰로 동물권 보호를 주제로 진행했다.

 

김 여사는 개 4마리와 고양이 3마리 등 반려동물을 7마리나 키우는 동물 애호가다.

 

김 여사는 “보편적인 문화는 선진국과 공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 식용은) 한국에 대한 반(反)정서를 가지게 할 수 있다”면서 “개고기는 사실 건강에도 좋지 않다. 식용 목적으로 키우는 개들은 좁은 뜰장에서 먹고 자고 배변까지 한다. 항생제를 먹이며 키우는 사례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개 식용을 안 한다는 건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구에 대한존중의 표현이자 생명에 대한 존중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 식용 종식 방안에 대해선 “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며 “영세한 식용업체들에 업종 전환을 위한 정책 지원을 해 주는 방식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대통령직인수위 출범 이후 동물학대 처벌법 강화 의견이 많았던 것과 관련해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중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이 가장 약하다”며 “국내반려동물 인구가 1500만명이다. 학대범 처벌 수위를 강화해 질서가 잡히면 성숙한사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결국 동물 학대와 가정폭력은 같은 줄기에서 나온 다른 가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동물을 존중한다는 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존중을 의미한다”며 “동물을 존중하는 마음이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적 관심으로 확장돼야 한다. 이를테면 학대받는 어린이, 소외된 여성, 유기된 영아, 보호시설에서 나와야 하는 청년 등의 문제다. 그래서 저는 동물존중에 대해 사명감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여사는 지난달 21일 방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 대통령에게 ‘매리드업’(married up·훌륭한 배우자를 만나 결혼한 남성에게 쓰는 표현)이라고 한 것에 대해 “제가 바로 그 말을 알아듣고는 ‘리얼리(Really)?’라고 받아쳤다”며 “저는 많이 부족한 사람이다. 누구든 서로 잘 맞는 사람을 짝으로 만나야 하는데, 남편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겠지요”라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