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서민금융 이용자들이 금융교육을 통해 금융문제에 대한 대응력 향상, 지출 및 대출 관리 등 보다 건강한 금융생활을 누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서민금융진흥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정책 서민금융 이용자 1038명(금융교육 이수자 523명·미이수자 515명)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금융교육 필요성은 전년보다 높아졌으며, 금융교육 이수자는 미이수자에 비해 더 건강한 금융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금융교육의 효과성과 관련해 ‘소득 대비 지출 과다’ 문제에 대해 이수자는 37.9%, 미이수자는 46.6%라고 답변했다. ‘예·적금 보유 비율’은 이수자가 65.0%로 미이수자(59.8%)보다 컸다. ‘제1금융권 대출 이용’ 항목에서도 이수자(63.8%)가 미이수자(60.8%)보다 큰 비중을 보였다.
금융교육 미수강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교육 필요성 분석에서는 전년 대비 6.5%포인트 증가한 81.7%가 ‘금융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금융생활 어려움의 원인에 대해서는 가정경제환경의 어려움(48.0%), 금융지식의 부족(36.8%), 금융시스템의 문제(6.3%), 금융서비스의 문제(6.1%) 등의 답변이 나왔다.
금융교육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공통적으로 개인 금융생활에 직결되는 신용관리, 서민금융제도, 금융사기예방 등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았다. 교육 수단으로는 모든 연령층에서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교육(70% 이상)을 가장 선호했다. 20대는 ‘온라인 포털 이용’(20.6%)’, 60대는 ‘시청각(TV,라디오)’에 대한 선호도도 다소 높았다.
한편, 서금원은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금융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지난해 42만9126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했다. 이는 전년 대비 57.9% 증가한 수준이다.
이재연 원장은 “정책서민금융이 서민·취약계층의 금융생활 안정화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금융교육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단순 정보 제공 위주의 교육이 아닌 생애주기별로 실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금융교육을 통해 서민·취약계층에게 교육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