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文정부 부동산 실패는 잦은 시장 개입 때문… 신뢰 회복이 최우선”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2-11 14:44:18 수정 : 2022-02-11 14:44:1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집값 불안 원인은 저금리인데 엉뚱한 규제”
임대차 2법·보유세 강화 등 부작용 사례 꼽아
“시장친화적·장기적 정책으로 문제 극복해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실패는 광범위하고 잦은 시장 개입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차기 정부의 건설·주택 정책’ 세미나에서 “집값 불안의 가장 큰 원인은 저금리였다”며 “현 정부는 자산버블 환경과 시장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광범위한 시장 개입으로 주거비 부담 증가, 자산격차 확대, 수급 불일치 등의 문제를 낳았다”고 주장했다.

 

저금리로 인한 글로벌 유동성 증가가 집값 급등의 원인임에도 이와 무관한 광범위한 규제로 시장을 더욱 왜곡시켰다는 설명이다.

 

허 실장은 “정부가 시장 메커니즘을 고려하지 않은 종합대책을 매년 2∼3차례 발표했지만 가격 상승세는 지속되고 풍선효과가 발생하는 등 정책의 부작용은 더 확대됐다”며 “시장의 작동원리보다는 규제와 공공 중심의 정책 운영으로 부작용과 시장 내성만 키웠다”고 지적했다.

 

서울 은평구의 한 빌라촌 모습. 연합뉴스

대표적인 부작용 사례로,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시행으로 인한 전월세 가격 급등, 공시가격 상승 및 보유세 강화에 따른 주거비 부담 증가 등을 허 실장은 꼽았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를 중심으로 아파트 선호 현상이 더욱 강해진 가운데 정부의 규제로 서울 아파트 공급은 과거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도 문제로 지적했다

 

허 실장은 차기 정부가 현재의 주택 문제를 극복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정책 시스템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임대차 2법을 4~5년간 유예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임대차 시장에 대한 정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3기 신도시 입주로 수도권 주택시장의 안정을 담보할 수 있을 때까지 미뤄야 한다는 것이다.

 

조세제도 정상화도 개선 과제로 제안했다. 공시가격 목표 현실화율을 현행 90%에서 80%로 하향 조정하는 한편 양도세 중과 폐지, 장기보유특별공제 정상화, 고령자 재산세 감면 강화, 재산세의 소득공제 연계 도입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허 실장은 “차기 정부가 현재의 주택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책 신뢰 회복이 최우선 과제”라며 “부작용을 최소화한 시장 친화적 정책, 잦은 변화 없이 장기적으로 믿을 수 있는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준무 기자 jm10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