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달라진 생활패턴 대응
5대 불안요소 해소책 마련 계획
10월에는 온라인 공개포럼 개최
서울시가 서울연구원과 함께 1인가구 생활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다. 주거, 안전, 질병 등 1인가구의 특성을 파악해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는 취지에서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3가구 중 1곳은 1인 가구다. 서울 전체 398만 가구 중 1인가구 수는 139만 가구(3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4인가구 형태가 가장 많았지만 2015년 이후로는 1인가구가 보편적인 형태가 됐다.
시와 연구원은 이달부터 전문조사업체와 함께 1인가구 30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생활실태 및 정책수요조사에 나선다. 이번 조사를 통해 시는 1인가구의 5대 불안요소인 △주거 △안전 △빈곤 △질병 △외로움을 해소할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1인가구의 경우 다른 가구형태보다 지역별, 성별, 연령, 경제수준 등에 따라 다층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파악하고 있다. 1인가구는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형성됐는지에 따라 정책의 만족도가 다르고, 1인가구 생활 지속 의향은 남성(36.1%)에 비해 여성(48.6%)이 높게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생활패턴이 달라지며 1인가구의 정서적, 경제적인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시는 1인가구 현황 및 트렌드, 정책제언, 인식 제고 등을 위한 온라인 포럼도 이어갈 계획이다. 서울연구원은 지난달 인구구조, 빅데이터 등 23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1인가구 정책포럼을 구성했다. 이들은 이달 말부터 서울시 1인가구의 정책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학술회의를 총 15차례 운영하기로 했다. 다음달에는 ‘1인가구의 다차원적 특성과 유형화:지원 방향과 전략의 출발점’(가칭)이라는 온라인 공개 포럼을 개최한다.
이해선 서울시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준비해 1인가구 삶의 질을 높이는 안심서울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