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간 이상 수면하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 30% 높아“

50~60대 중년이 6시간 이하로 잠을 자는 일이 계속될 경우 치매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수면시간이 중년기 뇌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프랑스 국립보건의학연구소(INSERM) 세브린 사비아 박사가 이끄는 유럽 공동연구팀은 50세나 60세에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7시간 이상인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3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1985년부터 영국인 7959명의 건강 상태를 25년간 추적 조사한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UCL)의 화이트홀 Ⅱ(Whitehall Ⅱ) 데이터를 분석했다.
조사 참가자들은 자신의 수면시간을 직접 보고했고, 일부 참가자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밴드를 이용해 수면시간을 측정했다.
이들 가운데 연구 기간에 치매에 걸린 사람은 521명이었다.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나이는 53.4~87.6세였으며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대부분 70대 이상이었고 치매 진단 평균 연령은 77.1세였다.
분석 결과 50세와 60세 때 수면시간이 6시간 이하인 사람은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인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부터 70대까지 수면시간이 일관되게 6시간 이하로 짧으면 7시간 이상 잠을 자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심근경색이나 정신건강 문제나 사회인구학적 요인 등을 고려해도 치매 위험이 30%나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치매의 원인-결과 관계를 밝혀주는 것은 아니지만, 수면시간과 치매 위험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수면이 중년기 뇌 건강에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며 향후 연구를 통해 수면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도 규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면 조절 장애는 치매 환자가 보이는 증상 중 하나지만, 노년기 이전의 수면시간이 치매 발생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초기 치매가 수면시간에 영향이 미치는 것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짧은 수면시간뿐 아니라 지나치게 긴 수면시간도 치매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서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