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주민 정착지원 인프라 조성 사업·우수사례 공유 등 지원"

지난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이 222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구(5178만명)의 4.3%를 차지하는 데 충남 인구(약 219만명)보다 많다. 한국 국적을 갖고 있는 외국인주민은 전체의 20% 정도였다.
29일 행정안전부의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1월1일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221만6612명으로, 전년(205만명)보다 16만1991명(7.9%) 늘었다. 2006년 50만명대였던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은 2009년 100만명을 넘어섰고 2014년 150만명, 2018년 200만명을 넘어섰다.
외국인주민은 외국인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외국국적 동포는 물론 한국국적 취득자, 국내서 태어난 외국인주민 자녀까지 포함한다.
지난해 한국국적이 없는 외국인주민은 전체의 80.3%인 177만8918명이었다. 외국인근로자(51만5000명), 외국국적 동포(30만3000여명), 결혼이민자(약 17만4000명), 유학생(약 16만명) 등의 순이다. 불법체류자 등 기타외국인은 62만6000여명이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외국인근로자 중 합법체류자는 전년보다 1만3000여명 준 반면 불법체류자 등 기타외국인은 10만8000여명 늘었다”고 전했다.
한국 국적이 있는 외국인주민은 한국 출생 외국인주민 자녀(약 25만2000명)와 한국 국적 취득자(약 18만6000명) 등 약 43만8000명이었다. 외국인주민 자녀 중 미취학아동이 45.2%로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연령대가 39.3%, 중·고생이 15.4%였다.
외국인주민 수가 많은 시·도는 경기(72만명), 서울(46만6000명), 경남(13만5000명), 인천(13만명), 충남(12만7000명) 등이었다. 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이 높은 시·도는 충남(5.8%), 경기(5.4%), 제주(5.2%), 서울(4.8%), 충북(4.6%) 등의 순이었다.
228개 시·군·구 가운데 외국인주민이 많은 시·군·구는 안산시(9만3000명), 수원시(6만7000명), 화성시(6만5000명) 등 경기도에 많았다. 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음성군(15.0%), 영등포구(14.1%), 금천구·포천시(각각 13.2%) 등이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외국인근로자의 미세한 변화 이외에 예년과 비교해 지난해 눈에 띄는 큰 변화는 없는 편”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한 올해 통계가 내년쯤 나올텐데 외국인주민 유형별 추이 등을 주목해 살펴볼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이재관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발표된 통계는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 등에서 외국인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며 “외국인주민의 정착지원 기초인프라 조성사업과 우수사례 공유·확산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