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경기 수원시가 추진 중인 ‘망포역세권 복합개발사업’에 대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사업은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가 공용주차장 터를 민간에 매각해 대규모 복합개발을 추진하는 것이다.
7일 수원경제정의실천연합은 성명을 내고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가 망포역세권 복합개발사업에 대해 제대로 된 시민 의견 수렴 절차, 전문가 자문, 토론회와 공청회를 거치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수원경실련은 매각계획 철회와 사업 재검토를 요구했다. “해당 사업이 애초에 시 자체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됐다가 갑자기 민간개발로 변경된 경위와 진행 과정의 문제점을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시의회 차원에서 조사위원회를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또 “수원시가 사업 추진 과정에서 형식적인 열람 공고와 설문조사 외에 충분한 논의와 의견수렴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앞서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는 영통구 영통동 980-2일대 8772㎡의 망포공영주차장을 민간에 매각하기로 했다. 현재 공모가 진행 중이며 12개 업체가 개발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수원시는 2018년 수원도시공사를 만들면서 필요한 자본금 충당을 위해 해당 공영주차장 부지를 도시공사에 현물로 출자했다. 당시 시는 이 부지를 활용해 공영개발방식으로 예산 3000억원이 소요되는 ‘망포역세권 복합개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수원시와 수원도시공사가 공영개발방식이 아닌 민간개발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해당 부지를 민간에 매각하겠다고 방침을 바꾼 것이다. 망포역 사거리 인근에 있는 해당 용지는 영통구 초입의 노른자위 땅으로 불린다.
이와 관련, 수원경실련은 “민간에 매각이 이뤄지면 시는 당장 800억원의 돈은 벌겠지만 이는 해당 부지의 잠재적 활용 가치를 영원히 포기하는 행위”라며 “당장 시민에게 필요한 사업도 아닌데 시가 급하게 추진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반면 수원시는 필요한 행정절차를 모두 이행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해당 부지를 그대로 방치해 둔다고 해서 시와 시민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서 “미분양 등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민간개발 방식으로 변경했고, 주민공람과 설문조사 등 필요한 절차는 다 거쳤다”고 반박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