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등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국가고시 거부와 동맹휴학 등에 나선 의대생들이 전국의 의대 교수들에 서신을 보내 지지와 응원을 호소했다. 이에 서울대와 울산대 등의 의대 교수들은 제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보호하겠다고 화답했다.
28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국 의대 교수들에게 서신을 보내 “지금 걷고 있는 길이 너무 두렵고 무섭다”며 “시험, 수업, 실습 거부의 길이 틀리지 않았다는 지지와 응원의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정부의 잘못된 의료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자 간절히 바라왔던 의사가 되는 길을 거부했다”며 교수들도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수업, 실습 거부에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학생들의 절실한 요청에 응답해주시리라 믿는다”고도 전했다.
의대생들은 물론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한전공의협회(전공의협) 등도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등 의료정책을 ‘4대 악(惡) 의료정책’으로 규정하며 철회를 요구했다. 의협은 지난 26일부터, 전공의협은 지난 21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도 했다.
전국의 의대생들은 국가고시 거부 및 동맹휴학에 나섰다. 의대협은 국가고시 응시자 3036명 중 93.3%인 2832명이 원서 접수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이들 마지막 학년을 제외한 전국 의대생 1만5542명 중 91%인 1만4090명은 휴학계를 제출했다.
그러나 정부는 국가고시를 예정대로 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은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을 예고한 대로 오는 9월1일부터 10월27일까지 시행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도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거부에 ‘원칙적 대응’을 천명했다.

의대생들 사이에선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지난 26일 의견서를 내 제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서울대 의대 교수진은 “수많은 의대생이 휴학계를 제출하고 국가고시 접수를 철회한 것에 대해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이들의 집단행동은 불합리한 정책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순수한 열정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대생들이 불이익을 받게 된다면 스승인 우리 교수들이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정부를 향해선 “즉각 정책 강행을 중단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된 이후 원점으로 돌아가 공론화하라”고 촉구했다. 이 같은 교수들의 의견서는 의대협이 같은 날 교수들에게 “교실 밖으로 나가는 학생들에게 손을 내밀어 달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보낸 뒤 나왔다. 이날 울산대 의대 교수들도 성명서를 내어 “의대생들의 합리적인 주장이 불이익으로 돌아온다면 스승으로서 교수들이 단호하게 나설 것임을 밝혀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