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던 사건"…정치권, '라임 전주 늑장 수사' 질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0-07-22 17:11:42 수정 : 2020-07-22 17:36: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원회 소속인 유상범(왼쪽부터)·이영·강민국·유의동·윤창현·김웅 의원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라임·옵티머스 사태 관련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피해액만 1조6000억원대에 달하는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늑장 수사’ 논란이 법조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검찰은 라임사태의 핵심 피고인인 ‘전주’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옛 인터불스) 회장에 대해 지난해 고발장이 접수됐으나 수사에 뒤늦게 착수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단독] 검찰 ‘라임 전주 고발장’ 1년간 뭉갰다

 

[단독] ‘검은돈 추적’ 골든타임 놓친 새… 김봉현 수백억 빼돌려

 

22일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방지 및 피해구제 특별위원회는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라임자산운용 및 옵티머스자산운용 등의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를 지적하며 검찰의 각성을 촉구했다. 특위는 “김봉현 전 회장이 지난해 3월 검찰에 고발됐으나 검찰은 1년간 사건을 방치했다”며 “정상적인 수사와 점검을 했더라면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던 사건이었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 이처럼 문제 제기에 나서면서 라임사태를 둘러싼 검찰수사 지연 의혹 등에 대해 진실 규명이 이뤄질지도 관심사다. 국회 일정에 따르면 정무위원회는 오는 28~29일, 금융 관련 소관기관도 29일로 업무보고 기일이 잡혔다. 이 자리에서 라임·옵티머스 사태에 대한 집중적인 질의가 예상된다.

 

법조계 안팎에서도 대형 사건을 인지하지 못하고 수사에 빠르게 나서지 못한 검찰 대처에 대해 안일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본지 보도 직후인 지난 16일 “고발인이 주장한 혐의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고발장 각하 사유를 내놨으나 정작 수사 지연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다. 부장검사 출신 변호사는 “검찰이 사건의 중요도를 잘못 판단한 것인데 검찰 측 입장이 궁색하다”고 견해를 밝혔다.

 

안병수·이창훈 기자 r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