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신발 시위

관련이슈 설왕설래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0-07-21 22:17:16 수정 : 2020-07-21 22:17:1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도 민족해방운동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가 남아프리카에서 변호사로 일할 때의 이야기다. 그가 막 떠나는 기차의 발판에 올랐는데 그만 신발 한 짝이 벗겨져 기차 밖으로 떨어졌다. 그러자 간디는 나머지 한 짝을 떨어진 신발 옆으로 던졌다. 함께 있던 친구가 의아해하며 이유를 물었다. 간디는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누군가 저 신발을 주우면 두 쪽이 다 있어야 신을 수 있지 않겠는가.” 배려하고 나누는 삶의 일단을 엿볼 수 있는 에피소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오랫동안 부와 신분, 계급의 상징이었다. 고대 그리스에선 신발로 노예와 자유민을 구별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신발은 주술의 대상으로 대우받기도 했다. 우리 조상들은 짚신에 주술력이 있어 온갖 병을 물리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험한 곳을 밟아도 잘 닳지 않기에 강한 저항력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1939년 조선총독부가 발간한 ‘조선의 풍수’를 보면 평안남도 지역에서는 병의 예방 차원에서 우측 발의 짚신을 천장에 걸어 두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신발에는 저항의 이미지도 녹아 있다. 태업을 뜻하는 사보타주(sabotage)는 프랑스어 사보(sabot·나막신)에서 연유한 말이다. 중세 유럽 농민들이 영주의 부당한 처사에 항의해 수확물을 나막신으로 짓밟은 것이 단어의 기원이다.

아랍에서 신발을 사람에게 던지는 것은 엄청난 모욕행위다. 2008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기자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신발을 투척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 신발을 만든 터키 회사는 1년치 판매량의 4배에 달하는 주문이 밀려들어 대박을 터뜨렸다.

지난 16일 50대 남성이 국회의사당 현관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신고 있던 신발을 벗어 던졌다. “모멸감과 치욕감을 느끼라. 가짜 평화주의자, 가짜 인권주의자”라고 소리쳤다. 18일에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항의하는 집회 참가자들이 신발 던지기 퍼포먼스를 했다. “임대사업자와 다주택자를 범죄자로 만들었다”는 구호가 나왔다. 연이은 신발 시위는 국민 마음이 떠나고 있다는 증표다. 위정자들이 아프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민심 이반의 쓰나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김환기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