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19년 인구이동률 13.8%… 47년 만에 최저

입력 : 2020-01-29 20:46:56 수정 : 2020-01-29 20:46:58

인쇄 메일 url 공유 - +

9·13대책·고령화 등 영향 / 서울 30년째 순유출 계속 / 경기·세종 등 5곳만 순유입

지난해 국내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이 47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나 직장 등을 이유로 거주지를 옮기는 젊은 층은 줄고, 상대적으로 거주지가 일정한 고령층 인구가 는 영향이다. 경제성장률 둔화와 교통·통신 발달도 인구 이동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에는 9·13 부동산대책 등에 따른 부동산 매매 감소까지 더해졌다.

서울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 해도 빠지지 않고 인구 순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이동자 수는 71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19만3000명(2.6%)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했는데, 1972년 11.0% 이후 4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인구이동률은 1990년 22.1%를 기록하는 등 20%대를 웃돌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2010년엔 16.5%, 2015년 15.2% 등 꾸준히 하락하는 흐름이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이동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느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인구이동률이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 이동률을 보면 20대가 23.1%, 30대가 21.0%로 가장 높았다. 20대만 유일하게 전년 대비 이동률이 0.7%포인트 증가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감소했다.

정부의 부동산대책도 인구이동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주택거래량은 전년보다 6.0%(5만1000건) 감소했고, 신규입주예정 아파트 수도 11.6%(5만3000건) 줄면서,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 수가 16만3000명 줄었다. 인구이동 사유를 비중으로 보면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개였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은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