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과 미국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재개한 비핵화 실무협상이 5일(현지시간) 결렬됐다. 양측은 지난 2월 ‘하노이 담판’ 결렬 이후 7개월 만에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지만 비핵화 해법을 둘러싼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정상회담에 이어 실무협상에서도 돌파구를 찾지못한 가운데, 북한이 연말까지 지켜보겠다고 강조하면서 양측의 기싸움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북·미 실무협상의 북측 협상 대표인 김명길 외무성 순회대사는 이날 오후 6시30쯤 스톡홀름 외곽 북한대사관 앞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협상은 우리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결렬됐다”며 “이번 협상이 아무런 결과물도 도출되지 못하고 결렬된 것은 전적으로 미국이 구태의연한 입장과 태도를 버리지 못한 데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그동안 유연한 접근과 새로운 방법, 창발적인 해결책을 시사하며 기대감을 한껏 부풀게 하였으나 아무것도 들고나오지 않았으며 우리를 크게 실망시키고 협상의욕을 떨어뜨렸다. 한 가지 명백한 것은 미국이 우리가 요구한 계산법을 하나도 들고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협상 결렬의 책임을 미국으로 돌렸다.
김 대사는 특히 “우리는 미국 측이 우리와의 협상에 실제적인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판단한 데 따라 협상을 중단하고 연말까지 좀 더 숙고해볼 것으로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핵실험 중지를 연말까지 유지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우리의 핵시험과 ICBM 시험발사 중지가 계속 유지되는가 그렇지 않으면 되살리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미국 입장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김 대사의 성명 발표 후 3시간여만에 성명을 통해 “미국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가져갔으며 북한 카운터파트들과 좋은 논의를 가졌다”며 “북한 대표단에서 나온 앞선 논평은 오늘 8시간 반 동안 이뤄진 논의의 내용이나 정신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미국 대표단은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4개의 핵심사안 각각에 대해 진전을 이루기 위한 많은 새로운 계획에 대해 미리 소개했다”고 덧붙였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아울러 “미국과 북한은 70년간 걸쳐온 한반도에서의 전쟁과 적대의 유산을 단 한 차례의 토요일(만남의) 과정을 통해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것들은 중대한 현안들이며 양국 모두의 강력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미국은 그러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북한의 결단을 촉구했다.
앞서 북·미는 전날 스톡홀름 외곽에 위치한 ‘빌라 엘비크 스트란드’에서 권정근 전 북한 외무성 미국담당 국장, 마크 램버트 미 국무부 대북특사 등 차석대표급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예비접촉을 가졌고, 이날 같은 장소에서 김 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각각 협상대표로 실무협상에 나섰다.
워싱턴=정재영 특파원 sisleyj@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