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법무부 장관 ‘데스노트’ 미등재 논란, 노회찬재단 조승수 사무총장의 음주운전, ‘중요 인물’ 진중권 동양대 교수의 탈당계 제출….
이처럼 당 안팎에서 잇따라 터져나오는 악재들에 정의당 지도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조 장관 임명 후 당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는데다 검찰의 조 장관 관련 수사가 정점으로 치달으면서 당내 여진도 이어지고 있다. 지도부는 “당의 경고함은 흔들리지 않는다”며 위기론을 적극 반박하는 한편, 잇단 정책 행보로 분위기 쇄신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조국 사태’ 여파에 지지율 하락·당내 ‘이견’도
정의당은 앞서 조 장관 청문 정국에서 고심 끝에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애초 조 장관에 부정적이었던 기류가 더불어민주당이 정의당에 유리한 선거법 개정안을 밀어붙이자 태도가 돌변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조 장관을 둘러싼 의혹들이 정의당의 주요 지지층으로 분류되는 청년들에게 상당한 박탈감을 안겼다는 점에서 비난이 거셌다. 온라인 공간 곳곳에선 “정의 없는 정의당”이란 비아냥까지 등장했다. 이런 가운데 유명 ‘진보 논객’인 진중권 교수의 탈당계 제출 소식이 알려지면서 ‘탈당 릴레이’가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정의당 청년당원들 역시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정의당 청년당원 모임 ‘모멘텀’의 김지문 조직국장은 25일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정의당은 항상 평등과 사회 정의를 외치는 정당이었는데, 그러한 진보정당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당 중앙당이 그런 가치를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반대 입장을 외쳤다”고 설명했다. 함께 출연한 모멘텀의 김선아 홍보국장은 진 교수 탈당계 제출 소식과 관련해 “지금 (당내) 분열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아는데, 저도 이 정도면 탈당을 해야 할 정도가 아닌가까지 고민했다”고 털어놨다.
설상가상으로 과거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은 바 있는 노회찬재단 조승수 사무총장(전 국회의원)이 또 다시 음주운전을 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불난 데 기름을 끼얹은 꼴이 됐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권의 질타도 이어졌다.

정의당은 ‘조국 눈치 노트’ 논란 이후 지지율마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6~20일(9월 3주차) 유권자 30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의당 지지율은 5.3%를 기록했다. 이는 9월 1주차 조사 때 6.9%였던 것이 2주 연속으로 하락한 수치다. 한국갤럽이 지난 20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서도 정의당 지지율은 7%를 기록, 9월 1주차 조사보다 2%p 떨어졌다.
◆즉각 해명에 각종 정책제안으로 ‘반전’ 노리나
정의당 지도부는 사태 수습에 총력을 펴는 모양새다. 김종대 수석대변인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일부 언론이 거론하는 ‘탈당 러시’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복학이나 직장이동, 입대 등 8∼9월에는 계절적 요인이 있어 매년 이 시점에 탈당자가 발생했다”고 부연했다. 심상정 대표는 같은 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진 교수가 자신과의 통화에서 탈당을 철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하기도 했다. 심 대표는 지난 21일에는 “당의 이번 결정(조 장관 관련)이 국민적 기대에 못 미친 것이 사실”이라며 “국민들께 매우 송구스럽다”고 뒤늦은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각종 제안과 정책 행보를 내놓기도 했다. 심 대표는 전날 “국회의원·고위공직자 자녀 입시비리에 대한 국회 차원의 전수조사”를 제안하며 반전을 꾀했다. 이에 박지원 대안정치연대 의원은 25일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고위공직자들 자제들이 안 걸린 사람들이 없고 의심하는 국민들이 많기 때문에 (심 대표가) 이러한 얘기를 한 것 같지만 과유불급”이라고 꼬집었다. 심 대표는 앞서 지난 10일에는 30만~40만원 수준인 현행 사병 월급여를 100만원으로 인상하는 내용의 군 혁신 방안을 발표하며 청년 민심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