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소녀와 장군 - 1] 6·25전쟁이 엮은 한국 소녀와 미국 장군의 인연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9-02-05 15:28:53 수정 : 2019-02-05 15:28: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승만 대통령이 주선한 사령관 관사에서 일하던 ‘하우스걸’의 “공부하고 싶다”는 호소 편지 / 퇴역한 미8군 사령관 밴 플리트의 한국사랑 자극 해리 트루먼 대통령과 플로리다 시민들이 축하하는 대대적인 전역 행사를 뒤로 하고 오렌지 농장에서 6·25전쟁의 상처를 떨쳐버리려 가지치기에 몰두하고 있던 노 장군은 편지 한 통을 받았다. 한국에서 날아온 것이었다. 누런 종이에 연필로 삐뚤빼뚤 적혀 있었다. 영어로 쓰였지만 한눈에 읽혀지지 않았다. 문법도 맞지 않았다. 전하려는 뜻이 뭔지 간신히 감 잡을 정도였다. 편지를 보자 전쟁의 아픈 기억이 되살아나면서 시계 바늘이 과거로 되돌아 가듯 멍해졌다.

제임스 A 밴 플리트 미8군 사령관이 1952년 11월 18일 '하우스걸' 수지(한국명 서수자), 아내 헬렌 무어 여사, 이승만 대통령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왼쪽부터)를 바라보고 있다. 아들 실종뒤 한국을 처음 찾은 헬렌 무어 여사가 이 대통령이 마련해준 집으로 짐을 옮기면서 촬영한 사진이다. (버지니아 마셜도서관=한용걸 논설위원)
편지를 보낸 사람은 손녀뻘되는 17세 된 한국 소녀였다. 아들이 전사한뒤 1952년말 아내 헬렌 무어가 한국을 방문하자 이승만 대통령이 편히 머물라면서 사택을 마련해주었다. 그때 집안 일을 도와주던 ‘하우스걸’이었다. ‘하우스 보이’와 ‘하우스 걸’ 두명에게 일을 맡겼는데 여자애가 당돌찼다. 한국을 떠나올때 도움이 필요하면 요청하라고 고향 플로리다 집 주소를 적어주었다. 번역을 부탁했는지, 영어쓰기를 배웠는지 신통하게도 연락한 것이었다.

한국에서 2년간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일을 겪었다. 국가의 부름을 받아 6·25전쟁에 나갔던 때는 59세가 되던 1951년 4월이었다. 중공군의 참전으로 남쪽으로 밀려내려간 1·4후퇴뒤 서울을 수복한 직후였다. 한국에 도착해 지휘권을 잡았을 때는 중공군이 재차 춘계공세를 벌이며 산등성이를 타고 새까맣게 밀어내려오고 있었다. 한국군 군단장이 도망치고, 사단장들이 계급장을 떼고 꽁무니를 뺐다. 광화문에서 마포까지 155㎜포를 총 동원해 일렬로 배치해놓고 인왕산과 북한산너머로 포탄을 퍼부어댔다. 절체절명의 위기를 겨우 막아냈으나 서울은 처참하기 이를데 없었다.

그랬던 한국이 마음속에 제2의 고향으로 자리잡았다. 외동아들 때문이었다. 전투기 조종사였던 아들은 환갑 생일 파티직후 야간작전에 투입됐다가 귀환하지 못했다. 다른 나라 전쟁에 참전했던 아들은 굳이 6·25 전쟁에 참전하지 않아도 되는데 아버지를 돕겠다면 전투기 조종사 자격증을 딴뒤 자원입대해 한국에 따라왔다. 아직도 아들의 뼈가 북한 어디엔가 묻혀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졌다. 청상과부가 된 며느리와 손자에게도 미안한 마음이 떠나질 않았다. 편지를 받아든 노병은 미8군 사령관이었던 제임스 A 밴플리트이다.

편지는 길이에 비해 내용이 간단했다. 잘 있느냐는 안부인사로 시작했지만 어머니가 행상으로 근근이 입에 풀칠하고 있어 학비가 없으니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느냐는 요청이었다.

'하우스걸'수지(오른쪽)가 밴플리트 장군의 부인 헬렌 무어 여사의 짐을 옮기고 있다. 왼쪽부터 밴플리트 장군, 헬렌 무어 여사, 프란체스카 여사. (버지니아 마셜도서관=한용걸 논설위원)
편지를 읽은 그는 고민했다. 머나먼 이국에서 잠깐 만난 어린 애의 편지였다. 이런 편지를 받은게 한 두번이 아니었다. 어떤 애의 편지를 받고 도와주었더니 형편없이 나온 경우도 있었다. 투정 정도로 생각하고 못본체 할 수 도 있다. 하지만 사택에서 잔심부름을 하면서 한솥밥을 먹었던 인연 때문에 영 마음에 걸렸다. 아이도 이런 부탁 편지를 보내는게 챙피했을텐데…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농장 한켠에 문패를 단 그의 서재 ‘한국관’에서 편지를 몇번이고 다시 읽었다. 아이가 원하는게 뭔지 좀 더 알고 싶었다. 어디로 진학하고 싶어하는지, 학비가 얼마나 필요한지, 학용품은 어떤게 필요한지 궁금했다. 편지를 읽다보니 아들 생각이 다시 떠올랐다. 언젠가는 북한땅에 묻혀있을 아들의 유골이나마 찾고 싶었다. 한국에 있는 어떤 인사에게 부탁하면 이 아이와 인연을 이어갈수 있을지 생각에 잠겼다. 그런뒤 조심스럽게 답장을 적어 내려갔다. 44년의 세월을 뛰어넘는 퇴역 장군과 소녀의 사랑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계속) 

한용걸 논설위원

(이글은 미국 버지니아주 렉싱턴의 버지니아군사학교(VMI) 마셜도서관의 밴플리트자료와 관계자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