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1년 전 발표한 예보 정확도 향상 단기대책의 실행률은 현재 60%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8월 말 기상청은 여름철 폭염 종료시점 예측이 번번이 빗나가면서 비난여론이 쏟아지자, 이를 진화하기 위해 단기·중장기로 구분된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강수를 분석하는 단기예보 전문분석관과 기온에 특화된 중기예보 전문분석관 도입, 평생예보관제 도입, 우수 예보관 승진 혜택 등이 그때 발표됐다. 그러면서 단기대책 10가지는 즉시 또는 올 상반기까지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예산 확보, 인력 증원 방안이 확보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대책 발표 1년이 지난 현재 10가지 단기대책 중 △예보관 자격제 실시 △예보관 교육훈련 체계 강화 △근무체계 개선 △객관적인 외부평가 체계 구축이 일부 혹은 전혀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보관 자격제는 예보관을 초급-중급-고급-최고급으로 나눠 9급 공무원도 실력이 있으면 고급 예보관이 되고 5급 공무원도 예보를 못하면 초급 예보관이 되도록 한 제도다. 현재 초급과 중급 예보관 교육 프로그램은 마련됐지만 본격 시행되지는 못한 상태다.
기상청 관계자는 “엄연히 수직적 질서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직급 체계를 무시하고 제도를 도입하기엔 내부 반발이 컸다”고 말했다.
5명씩 4개조로 꾸려진 예보관 근무조를 1개조 늘려 교대로 1개월씩 상시 교육을 받도록 하는 근무체계 개선 대책도 지방에서만 일부 이행됐을 뿐 서울에서는 실시되지 못했다. 정부 인사 문제를 담당하는 인사혁신처와 인력 보강 협의가 잘 이뤄지지 않은 탓이다.
기상선진국 전문 교육기관에 예보관을 장기 파견하는 일이나 외부 전문평가기관에 예보업무 평가를 맡기려던 계획도 실행에 이르지 못했다.
한편 기상청은 최근 논란이 된 ‘강수정확도’(ACC) 대신 ‘강수적중률’(TS)을 쓰기로 했다. 감사원이 최근 강수예보 평가 잣대로 정확도를 쓰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기상청은 그동안 “우리나라 강수예보 정확도는 90%가 넘는다”고 밝혀왔다. 그런데 정확도는 비 예보를 하지 않고 실제 비가 오지 않은 날까지 계산에 포함하기 때문에 실제 체감 정확도보다 부풀려질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올 들어 24일까지 비가 오지 않은 날은 186일에 이르는데, 매일 ‘오늘은 맑겠다’고 엉터리 예보를 하더라도 정확도는 78%(비가 안 온 날수 186일/올해 날수 236일)가 된다. 적중률은 비 예보가 없었고 비가 오지 않은 날은 빼고 계산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그동안 내부적으로도 정확도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지만 갑자기 적중률을 쓰면 강수예보 정확성이 90%에서 40%로 떨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을 어떻게 설명할지 고민스러웠다”며 “이번 기회에 정확도 대신 적중률을 쓸 방침”이라고 전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