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부가 술술] 내신 최상위권, 학생부교과·학종·정시 모두 강했다

입력 : 2017-08-07 03:00:00 수정 : 2017-08-06 22:34:3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종로학원하늘교육 ‘3년간 수험생 2만명 수·정시 지원’ 분석 학생부종합전형에 합격한 수험생은 대체로 내신(교과) 성적도 뛰어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내신이 1.5등급 이내인 학생들의 학종 합격률은 2.5∼3등급보다 2.2배 높았다. 학종은 학교생활기록부의 비교과 부분을 주로 평가하는 수시 전형이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의 학종 전형 합격자들의 수능 성적(국어·수학·탐구 영역 백분위 기준)은 인문계의 경우 6.5∼25.6점, 자연계는 2.6∼36.3점 분포를 보였다. 내신 최상위권 학생들이 학생부교과전형은 물론 학종이나 정시에서도 우위를 점하는 게 수치로 증명된 셈이다.

입시업체 종로학원하늘교육은 최근 3년간 대학입시 수험생 2만여명의 수·정시 모집 지원사례 24만여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경향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내신 1∼1.5등급 학생들은 수시에 평균 4.1회 응시했고, 이 가운데 70.9%인 2.9회가 학종이었다. 1.5∼2등급대 학생들의 학종 지원횟수는 2.4회, 2∼2.5등급은 1.8회, 2.5∼3.0등급은 1.4회였다.

최근 3년간 대입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에 합격한 수험생들은 학생부 비교과 활동은 물론 내신과 수능 성적도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달 말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연 ‘2018학년도 수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 모습.
연합뉴스
학종 합격률은 내신 성적이 크게 좌우했다. 1∼1.5등급 학생들의 합격률은 71.8%로 평균 2개 대학에 합격한 것으로 조사됐다. 1.5∼2등급대의 학종 합격률은 55.7%로 평균 1.7개대에 합격했고, 2∼2.5등급대 합격률과 평균 합격 대학은 39.7%, 1.8개대였다. 2.5∼3등급은 32.5%, 1.7개대, 3∼3.5등급은 26.6%, 1.6개대였다. 내신 최상위권 학생들이 학종 합격도 휩쓸고 있는 것이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은 최근 3년간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학종 전형 합격자들의 당해 수능 성적도 살펴봤다. 수능 중심의 정시 지원 가능선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그 결과 학종 전형이나 모집단위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예컨대 고려대 수시 고교추천2 전형 정치외교학과 합격자의 내신 성적은 평균 1.28등급이었고 수능 백분위는 288.5점이었다. 이 학과의 정시 지원 가능선은 295점이었다. 불과 6.5점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던 것이다.

학종과 정시 합격생의 수능 성적차가 작은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인문계 상위 5개 학과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에 이어 △연세대 사학과(-8.6점) △연세대 경제학과(-9.3점) △서울대 경제학부(-9.6점) △서울대 경영대학(-9.9점)이었다.


자연계는 더 심했다. 연세대 학종(활동우수형) 의예과 합격생의 내신은 평균 1.07등급이었고, 수능 국어와 수학, 탐구영역 백분위 점수는 293.4점이었다. 정시로 연세대 의예과에 들어갈 수 있는 국·수·탐 백분위 점수 합이 296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시로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었던 학생들이 학종에 지원해 미리 합격증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자연계 모집단위에서 학종·정시 수능 점수차가 비교적 적은 5개 학과는 △연세대 의예과(-2.6점) △서울대 의예과(-5.9점) △서울대 생명과학부(-6.3점) △서울대 재료공학부(-6.7점) △연세대 신소재공학부(-6.9점)였다.

학종은 학생부 비교과 활동 위주로, 정시는 수능 성적 중심으로 학생들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학종 합격자의 수능 점수와 정시 지원 가능선 차이가 큰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모집단위도 많았다.

점수차가 많이 나는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인문계 상위 5개 학과는 고려대에 몰려 있었는데 △교육학과(-25.6점) △자유전공학부(-24.8점) △국어교육과(-24.4점) △행정학과(-24.4점) △국어국문학과(-23.1점)였다.

자연계의 경우 △고려대 컴퓨터학과(-36.3점)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34.5점) △서울대 간호대학(-34.4점) △서울대 수의예과(-33.0점) △고려대 건축사회환경공학부(-28.1점) 순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그래도 학종은 학생부교과전형에 비해 합격자 내신 성적 분포 구간이 넓게 펼쳐져 있는 편”이라며 “내신 성적이 학종 합격의 절대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를 통해 충분히 내신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