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廣東) 성 선전 시 등을 비롯해 현지 11개 도시에서 시작된 공유우산 사업이 대부분 우산을 잃어버린 상태에서 3개월여 만에 문을 닫게 된 사실이 알려졌다. 하지만 창업자는 느긋하다. 올해 말까지 수천만위안을 더 쏟아부을 계획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스트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앞선 4월 선전, 상하이, 난징, 광저우 그리고 난창 등을 포함한 11개 도시에서 시작한 공유우산 사업이 3개월여 만에 문을 닫게 됐다.
사업 시작 당시에는 우산 30만개가 골고루 배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회수되는 우산이 줄어들더니 이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탓이다.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등에 설치된 보관소에 우산을 빌린 이들이 다시 가져다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 |
중국 광둥(廣東) 성 선전, 상하이, 난징, 광저우 그리고 난창 등 11개 도시에서 지난 4월 시작한 공유우산 사업이 3개월여 만에 문을 닫게 됐다. 시작 당시에는 우산 30만개가 골고루 배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회수되는 우산이 줄어들더니 이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탓이다.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등에 설치된 보관소에 우산을 빌린 이들이 다시 가져다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업자는 올해 안에 수천만위안을 다시 쏟아부을 계획이다. 중국 상하이스트 캡처. |
자오슈핑은 1000만위안(약 16억원)을 들여 공유우산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성공작으로 평가되는 자전거 대여사업에 깊은 감명을 받아 시민들과 우산을 나누기로 했다. 거리의 모든 것은 공유된다는 게 사업 철칙인데, 아쉽게도 시민들 생각은 그와 같지 않은 듯하다.
자오슈핑의 공유우산 사업은 보증금 19위안(약 3200원)을 내고 30분당 0.5위안(약 85원)씩 사용료가 올라가는 방식이다. 우산을 돌려놓으면 보증금은 돌려받고, 사용료만 내면 된다. 하지만 시민들은 이마저도 지키지 않았다.
![]() |
중국 광둥(廣東) 성 선전, 상하이, 난징, 광저우 그리고 난창 등 11개 도시에서 지난 4월 시작한 공유우산 사업이 3개월여 만에 문을 닫게 됐다. 시작 당시에는 우산 30만개가 골고루 배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회수되는 우산이 줄어들더니 이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탓이다.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등에 설치된 보관소에 우산을 빌린 이들이 다시 가져다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업자는 올해 안에 수천만위안을 다시 쏟아부을 계획이다. 중국 상하이스트 캡처. |
자오슈핑은 느긋하다. 당장은 사업을 이어나가기 어렵게 됐지만, 다시 준비해서 올해 안으로 3000만위안(약 51억원)을 더 투자할 계획이다. 호기심에 우산을 가져가는 것 아니겠냐며, 관심도가 떨어지면 우산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거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일각에서는 우산의 원가 대비 보증금이 높아서 이미 자오슈핑이 이익을 거뒀을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역사나 정류장 등 보관소에 우산을 돌려놓아야 하지만, 자기 집에 가져다 놓는 게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 것 같다면서 자오슈핑은 여유까지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