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8일 자정' 영구 정지…40년간 불 밝힌 고리 1호기

입력 : 2017-06-15 20:52:33 수정 : 2017-06-15 22:29:3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첫 상업용 원전… 해체에 15년 이상 소요 / 안전성 검사 등 거쳐 2022년 6월 해체 / 폐로 비용 1조원… 국내 기업이 맡을 듯 /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최대 과제

 

국내 첫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출력 587㎿급 가압경수로)가 오는 18일 밤 12시(19일 0시) ‘영구정지’된다. 40년간 불을 밝히며 대한민국 산업화를 뒷받침했던 고리 1호기는 해체, 즉 ‘폐로(廢爐)’에만 15년 이상 소요될 전망이다. 정부는 고리 1호기를 성공적으로 해체하고 관련 기술을 수출로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15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한수원은 오는 17일 오후 6시 고리 1호기로 가는 전기를 끊는다. 이와 함께 냉각제를 가동, 원자로 온도를 낮추기 시작한다. 원자로 온도는 19일 0시이면 90여도까지 떨어져 영구정지 판정을 받게 된다. 이후 별도 저장조로 옮겨 안전성 검사 등을 거친 뒤 2022년 6월쯤 해체에 들어간다. 원전해체는 영구정지 전 준비-사용후핵연료 냉각 및 안전관리-제염 및 해체-부지 복원의 4단계로 나뉘어 15년 이상 진행된다. 한수원은 “해체 기술은 방사선 안전관리, 기계, 화학, 제어 등 여러 분야 지식과 기술이 복합된 고난도 종합엔지니어링·융합기술”이라고 밝혔다. 작업 환경이 고방사선의 극한 환경인 탓이다. 한수원은 2021년까지 해체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총 58개 기술 가운데 미확보 기술 17개는 해체 착수 전까지 개발해야 한다.

고리 1호기 해체에는 총 1조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 추산액은 6400억원가량이지만 관련 법에 따라 2년마다 재산정하다보면 1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해체는 국내 기업이 맡을 가능성이 높다. 한수원 관계자는 “영국,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우리 기술이 뒤지지 않는다”면서 “일반적으로 원전 해체는 자국 기술을 많이 이용한다”고 말했다.

관련 산업도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원전의 경우 고리 2호기(1983년)·3호기(1985년)·4호기(1986년), 월성 1호기(1983년), 한빛 1호기(1986년)·2호기(1987년), 한울 1호기(1988년)·2호기(1989년)가 상업운전을 시작한 지 30년 안팎이 흘렀다. 세계적으로도 원전 443기가 운영 중이고, 영구정지 원전은 157기에 이른다. 거대한 원전해체 시장이 열리고 있는 셈이다. 컨설팅업체 딜로이트는 2030~2049년의 원전해체 시장은 총 185조원, 연평균 9조2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1974년 10월 고리 1호기 공사현장.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 제공=연합뉴스

사용후핵연료 관리 문제는 숙제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할 영구처분장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수원은 2024년이면 고리원전 내 보관시설이 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장 주민들의 걱정과 반발도 높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설이 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 확충은 꼼수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고리원전 1호기 바로 앞 길천마을 이창호(53) 이장은 “영구정지 이후 해체과정이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해창 경성대 교수(환경공학)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선진국이라고 해도 현재 특별한 대안이 없다”며 “스웨덴과 핀란드 정도가 심층처분장(지하 매설 방식)을 구해 준비 단계에 있는 정도”라고 말했다.

조현일 기자, 부산=전상후 기자 con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