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새로 드러난 北 연루자들 말레이시아 경찰이 22일 기자회견에서 김정남 암살사건에 연루됐다고 밝힌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 현광성(왼쪽)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가운데). 오른쪽은 북한 국적 용의자 리지우.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
현지 경찰 당국이 이번 사건과 관련해 추가로 공개한 명단에는 현광성(또는 현광송·44) 말레이시아주재 북한대사관 2등서기관과 고려항공 직원인 김욱일(37)이 들어 있다.
현광성은 김정남의 말레이시아 체류 시 보호와 감시를 겸하는 이중 역할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관 직원 신분을 감안할 때 평소에는 김정남의 말레이시아 방문 시 지원 역할을 도맡았으나, 이번 암살 과정에서는 김정남의 동선과 관련한 정보를 공작팀에 전달했을 가능성이 크다.
![]() |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
국가정보원 기획관(1급)을 지낸 구해우 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은 “김정남이 그래도 이복형이니 대사급은 아니더라도 다소 직급이 낮은 대사관 직원이 평소 김정남의 말레이시아 방문 기간 일정 부분 지원을 나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이 조직적으로 김정남에 대한 정치적 테러를 자행한 게 사실이라면 그 과정에서 이 인물이 김정남 동선을 비롯한 중요한 정보를 당국에 제공하는 등 이중적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고려항공사 직원인 김욱일은 김정남의 항공 스케줄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작팀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정보기관 대북파트 근무자는 “북한은 서로 다른 기관 직원을 해외에 파견해 상호 감시·역(逆)감시를 하는 체계”라며 “김욱일도 외피(外皮)는 항공사 직원이지만 다른 역할을 수행했을 수 있다”고 했다.
![]() |
수사 상황 발표 칼리드 아부 바카르 말레이시아 경찰청장(왼쪽)이 22일(현지시간) 쿠알라룸푸르 경찰청 청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수사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
말레이시아 경찰 당국의 현광성 등 면담 요청과 평양 귀환 용의자 4명에 대한 송환 요구에 북한이 응할 가능성은 극히 낮아 보인다. 현광성 면담 요청에 대해서는 외교관 면책특권을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칼리드 아부 바카르 말레이시아 경찰청장이 이날 평양 귀환을 확인한 리재남(57), 오종길(또는 오정길·55), 홍송학(또는 홍성학·34), 리지현(33)의 신병인도를 요구한 것에도 불응할 것으로 보인다. 용의자 4명의 신병을 넘길 경우 김정남 피살에 북한 당국이 개입됐음을 스스로 입증하는 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두려운 것은 이들의 입에서 나올 진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말레이시아주재 북한 대사관을 앞세워 한국과 말레이시아 당국을 비난하면서 진실규명 작업은 방해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해우 이사장은 “김정남 암살에 사용된 독극물 정체를 비롯해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니 북한은 부인할 수 있다”며 “말레이시아 당국이 스모킹 건을 찾아내고 김정남 암살을 북한의 정치적 테러로 명확히 규정하지 않는 한 이번 암살은 미궁에 빠질 수 있으며, 북한과 말레이시아 간 공방을 주고받는 선에서 마무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대내외 매체는 사건 발생 이후 10일째인 이날까지도 김정남 사망과 관련한 소식을 전하지 않고 있다. 이 와중에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20일째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춰 와병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다.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최룡해에 대해서는 특별히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