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플렉스센터’ 14일 개관 서울의 IT(정보기술), 디지털미디어, 문화콘텐츠 산업 역량을 한곳에 집약한 ‘에스플렉스센터’가 착공 7년 만에 문을 연다. ‘에스플렉스센터’는 향후 도시 IT 산업의 전진기지이자 IT 문화를 활용한 시민들의 휴식처로 기능하게 된다.
서울시는 디지털미디어 클러스터인 상암 DMC 단지 내에서 14일 ‘에스플렉스센터’를 개관한다고 12일 밝혔다. 2009년 4월 착공한지 7년 만이다.
 |
14일 개관할 서울 IT 산업의 전진기지 ‘에스플렉스센터’의 전경. 서울시 제공 |
에스플렉스센터는 부지 면적 6605㎡에 연면적 8만1969㎡ 규모로 전문 IT 시설인 ‘스마티움’과 다양한 시민 이용 시설이 포함된 ‘시너지움’ 등 2개동으로 구성됐다. 스마티움에는 그동안 흩어져 있던 서울시 IT·미디어 관련 핵심 기관이 한곳에 입주해 데이터 기반 행정거점을 형성하게 된다. 시의 데이터시스템을 통합하고 다가오는 클라우딩 컴퓨팅시스템 도입의 거점이 될 ‘클라우드센터’, 사이버 해킹의 위협으로부터 365일 24시간 서울시 행정망을 감시하는 ‘통합보안관제센터’, 민간·공공데이터를 모아 민·관·산·학이 자유롭게 공유·분석하고 도시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기관인 ‘빅데이터캠퍼스’, 창조적인 앱 개발을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앱비즈니스센터’와 교통방송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
‘에스플렉스센터’ 내에 개관한 국내 최대 규모 e-스포츠 경기장. 서울시 제공 |
시너지움에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IT 관련 시설이 마련됐다. 4월 먼저 문을 연 e-스포츠 경기장은 800석 규모로 국내 e-스포츠 경기장으로는 최대 규모다. 다양한 국내외 대회를 통해 세계적 수준인 한국 e-스포츠를 시민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링크스페이스’는 센터를 방문한 시민 누구나 관람하고 참여할 수 있는 오픈 갤러리 형태로 시민들이 제안한 정책 사례나 민관 협업을 통해 탄생한 다양한 디지털 혁신 사례가 전시되고 첨단 디지털 미디어 아트가 전시된다. 이외에도 3D영화관, 다목적 공개홀 등 민간 전문 운영 시설과 IT·디지털미디어·문화콘텐츠 관련 분야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시설, 방송통신시설, 기타 편의시설이 들어선다.
시는 14일 시너지움에서 박원순 서울시장과 IT 분야 전문가, 입주기관 대표, 일반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을 개최한다. 개관식에서는 박 시장과 시민대표, IT 개발자 등 16명이 ‘디지털 서울 선언문’을 발표한다. 센터 개관과 더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의 가치와 철학을 실천하는 의지를 8개 약속에 담을 예정이다.
최영훈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에스플렉스센터는 ‘새로운 연결, 디지털 허브’라는 목표에 걸맞게 공공과 민간이 협업해 기술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 활성화까지 도모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