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와 일본자동차수입조합 등에 따르면 포드, 크라이슬러, 캐딜락 등 미국 브랜드의 지난해 국내 판매량은 역대 최대인 1만7501대를 기록했다. 1만4623대에 그친 일본보다 3000대가량 많은 것이다.
지난해 국내 판매 수입차가 24만3900대로 일본 수입차 시장(32만8622대)의 74%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미국 브랜드가 일본보다 국내에서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둔 셈이다. 미국차 브랜드별 성적에선 포드코리아가 1만358대로 가장 앞선다. 다음은 FCA코리아의 크라이슬러가 6257대, 한국GM과 별도로 캐딜락을 판매하는 GM코리아가 886대 순이다. 차종별로는 포드코리아의 익스플로러가 3689대로 가장 많이 팔렸으나 수입차 판매 10위 이내에 들지는 못했다.
미국차 선전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 브랜드 차량의 지난달 국내 판매량은 1359대로 일본 960대보다 42%가량 많았다. 올해 1∼5월 누계에서도 한국 내 미국 브랜드 판매량은 7140대로 수입차 시장 점유율 7.7%를 기록한 반면 일본에서는 5219대(점유율 3.9%)를 판매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차 국내 판매가 일본을 추월한 건 수입차 시장이 커진 것도 원인이겠지만, 무엇보다 한·미 FTA 체결 이후 미국차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2년 3월 한·미 FTA 발효 이후 미국산 자동차 국내 수입관세율은 종전 8%에서 4%로 낮아졌다. 반면 한국산 자동차 미국 수출관세율은 지난해까지 종전처럼 2.5%로 유지되다가 올해에야 미국차 수입관세율이 0%로 내려가면서 같이 0%로 낮춰졌다. 이는 양국 협상에서 모든 승용차를 대상으로 FTA 발효 4년 후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은 한국에서 미국차 판매량이 일본을 앞지른 것은 한·미 FTA 효과 때문”이라며 “올해부터 양국 간 자동차 수출입 관세가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미국차 국내 판매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