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돈 비대위장 영입놓고도 박영선 전 원내대표와 의견 갈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회동을 마치고 나면 매번 진실 공방이 벌어지는 것을 두고 문 전 대표 특유의 화법이 도마에 올랐다. ‘네’, ‘알겠습니다’라고 긍정하는 식의 문 전 대표 화법이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이다.
직설적 화법의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와 회동한 뒤에도 어김없이 진실 공방이 벌어지자 당내에선 ‘문 전 대표와 회동할 때는 녹음해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다.
![]()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26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나와 차를 타고 외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 전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26일 통화에서 “문 전 대표는 말하기 껄끄러운 부분들에 대해선 조심스럽게 이야기하거나 우회적으로 이야기한다”며 “어떤 이야기를 하는 중에 다른 주제를 이야기하기도 한다”고 했다. 한 중진의원은 “문 전 대표가 웬만해서는 사람 면전에서 반박을 안 한다. 그냥 ‘알겠습니다’고 한다”며 “상대방은 문 전 대표가 수긍했다고 생각하는데 문 전 대표의 ‘알겠습니다’는 그냥 ‘이해하겠다’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문 전 대표 본인은 의사를 전달했다고 생각하는데 상대방이 의중을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했다. 당 관계자는 “문 전 대표가 회동 때마다 진실 공방을 일으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