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체 청년 임금 근로자 중 열정페이 청년 비중(왼쪽), 근로형태별 열정페이 청년 비중(오른쪽), 자료=현대경제연구원 |
2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열정페이 청년은 63만5000명으로 2011년에 비해 18만6000명 늘었다.
전체 청년 임금근로자 대비 열정페이 청년 비중도 같은 기간 12.3%에서 4.7%포인트 상승한 17.0%로 나타났다.
열정페이 비중은 연령이 낮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근로자 연령별 열정페이 비중을 보면, 15~19세는 2011년 51.7%(11만8000명)에서 지난해 57.6%(14만8000명)로 5.9%포인트 늘었고 20~24세의 경우에는 19.4%(21만6000명)에서 25.1%(34만7000명)으로 5.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25~29세는 5.0%(11만6000명)에서 6.7%(14만1000명)로 1.7%포인트 상승했다.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생과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의 열정페이 비중이 두드러졌다.
대학 재학생 열정페이 비중은 2011년 33.3%(25만1000명)에서 지난해 42.8%(33만5000)명으로 9.5%포인트 높아졌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도 13.4%(8만7000명)에서 20.5%(13만6000명)으로 7.1%포인트 확대됐다.
대졸 청년의 경우 같은 기간 4.1%(9만1000명)에서 6.4%(14만5000명)로 2.3%포인트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열정페이 증가폭이 컸다.
서비스업 임금근로자 청년의 열정페이 비중은 2011년 14.1%(40만8000명)에서 지난해 20.0%(59만4000명)로 5.9%포인트 증가한 반면, 제조건설업은 5.0%(3만8000명)에서 5.1%(3만9000)로 0.1%포인트 늘었다.
또 사업장 규모가 작고, 비정규직일수록 열정페이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 열정페이 청년의 월평균 임금은 63만6000원으로 열정페이가 아닌 청년의 월평균 임금 161만9000원의 39.3% 수준이었다.
또한 지난해 열정페이 청년의 월평균 임금은 70만6000원으로 열정페이가 아닌 청년의 월평균 임금 185만3000원의 38.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저임금은 인간다운 생활에 필요한 최소 임금이자 헌법에 보장된 당연한 권리"라며 "열정페이 근절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현 기자 ishsy@segye.com
<세계파이낸스>세계파이낸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