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치에 전면 보존 첫 사례 서울시가 종로구 공평동 정비사업 구역에서 발굴된 유구 보존을 위해 3800㎡ 규모의 유구전시관을 조성한다. 정비사업 구역에서 발굴된 매장문화재가 원위치에 전면 보존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공평동 1, 2, 4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굴된 매장 문화재들을 보존하기 위해 2018년 상반기 중 유구전시관으로 조성해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지역에서는 건물 신축을 위한 발굴 조사 중 15∼16세기 집터와 청화백자 조각, 기와 조각, 분청사기 조각이 대량 발굴됐다.
유구전시관은 집터와 유물이 있던 위치에 세워지는 신축건물 지하 1층에 높이 6m, 총면적 3818㎡(약 1154평) 규모로 들어선다. 서울의 유구 전시관 중 최대 규모다. 사업시행자가 전시관을 조성해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면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평동 유구전시관 조성을 계기로 사대문 안 정비사업구역에서 발굴되는 문화재는 최대한 원래 위치에 전면보존을 원칙으로 할 계획이다. 그동안 정비사업 구역에서 발굴되는 매장문화재는 유구 일부만을 신축 건물의 내·외부로 옮겨 보존하거나 지하에 부분 보존하는 방식을 취했다. 종로구 청진 2, 3지구에 들어선 디(D)타워와 청진 12∼16지구에 있는 그랑서울 건물이 이런 식으로 유구를 보존하고 있다.
시는 사업시행자에게 용적률을 높여주는 방식으로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공평 1, 2, 4지구의 경우 당초 높이 113.8m, 용적률 999%를 적용해 22층과 26층 2개 동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문화재 전면 보존에 대한 대가로 용적률이 1199%로 상향 적용돼 26층 2개동 건물이 들어서게 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전면보존 결정은 문화재를 바라보는 인식과 정책 전환을 통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민·관 협력 방식의 ‘보존형 정비사업 모델’”이라며 “수백년간 켜켜이 쌓여온 역사를 고스란히 만날 수 있는 현장 박물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