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中 전승절 가더라도 열병식 참석은 안 된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5-08-20 21:01:09 수정 : 2015-08-21 01:58: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3일 열리는 중국의 ‘항일 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전 70주년(전승절)’에 참석차 방중키로 했다. 여야는 “국익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전승절 참석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입장을 고려하느라 고민을 많이 했다. 10월 방미 일정을 미리 발표한 뒤 시차를 두고 방중을 발표하는 외교적 격식도 갖췄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박 대통령의 방중을 크게 환영해야 할 것이다.

동북아에서 외교전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가 발표된 뒤 주도권 다툼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그간 과거사 연대로 일본을 견제했지만 최근에는 양상이 바뀌었다. 일본 아베 총리가 전승절을 전후해 방중하기 위해 중국과 일정을 조율하는 등 두 나라 관계가 가까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선제적으로 전승절 참석을 발표한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아베 총리가 방중하면 그에 맞춰 한국이 추진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논의를 급진전시킬 수도 있다. 북한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나 리수용 외무상급의 고위 인사 참석 가능성이 있다. 이들과 접촉을 하거나 중국을 통한 압력행사로 북한 도발에 대한 억지력을 높이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전승절 참석을 계기로 동북아의 질서 변화에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대응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중국은 전승절을 기념해 3일 베이징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군 열병식을 진행한다. 이 행사에는 1만명 이상의 병력과 최신 무기 등이 동원될 것으로 알려졌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어제 전승절 행사 참석을 포함한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열병식 일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톈안먼 광장 사열대에 올라가 열병식에 참석하는 데 대한 고민이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6·25 때 우리 영토를 침범해 수많은 사상자를 내게 하고 통일을 좌절시켰다. 박 대통령이 이 같은 군대의 퍼레이드에 손을 흔들거나 사열대에 올라가 격려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사례도 있다. 메르켈 총리는 5월 러시아 승전기념식 퍼레이드가 열린 다음날 모스크바를 방문,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청와대는 중국에 양해를 구하고 열병식은 불참해야 한다.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