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선별적 복지 부분 전환 가능”
![]() |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 48차 중앙통합방위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홍원 국무총리(왼쪽), 한민구 국방장관(왼쪽 세 번째)과 함께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앞으로 한반도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길에 가장 중요한 토대가 튼튼한 국방과 안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새정치민주연합은 선별적 복지로의 부분 전환 가능성을 시사했고, 새누리당은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사회적 대타협기구 구성 논의도 빨라질 전망이다. 그러나 법인세 인상 여부 등 최대 쟁점 부분에선 여당 내에서조차 의견이 엇갈려 합의 과정에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 |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사진)이 5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서 “증세는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서울 소공동 한 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영자총연합회 주최 연찬회에서 “어떤 유형의 복지제도를 만들지 더 치열한 논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남제현·이제원 기자 |
![]() |
새누리당 비박계 유승민 원내대표(왼쪽)과 친박 핵심 서청원 최고위원이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각자 굳은 표정으로 다른 쪽을 바라본 채 나란히 앉아 있다. 남제현 기자 |
이어 “기본적인 복지 분야는 손대지 말고 다른 부분을 찾으면 충분히 각 방면이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런 부분들은 선별적인 복지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여당의 무상보육·급식 축소 요구에는 반대하지만 세수 부족에 따른 선별적 복지 필요성에는 호응한 측면이 있어 향후 논의가 주목된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국회 기재위 업무보고에서 “증세는 국민적 컨센서스가 전제되지 않으면 굉장히 많은 혼란과 갈등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아주 예민한 사안”이라면서 거듭 정치권의 합의를 주문했다.
이우승·김달중 기자 ws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