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지방선거 후 본격 화두, 재원조달 무대책… 곳곳 파열음

여의도 정가에서 ‘무상’ 구호가 주요하게 등장한 것은 2010년 지방선거 전이다. 민주당(현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방선거에서 무상급식 공약을 제시해 승리했다. 무상복지가 핵심 의제로 오르기까지는 10여년이 걸렸다. 민주노동당이 2002년 대선에서 무상복지를 처음 내세웠지만 반향을 얻지 못했다. 무상복지는 2009년 경기교육감 선거에서 김상곤 후보가 무상급식을 앞세워 승리하면서 부활했다.

여당이 우물쭈물하는 동안 민심은 ‘복지 확산’을 선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행한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는 참여율 저조로 투표함도 열지 못한 채 좌초했다. 오 시장은 사퇴했고 그해 10월 보선에서 무상급식을 꺼내든 박원순 후보가 당선됐다. 표심이 분명해지자 정치권은 여야 없이 ‘무상’에 손을 댔다. 그해 말 여야는 만0∼2세에게 무상보육을 지원하는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2012년에는 무상복지 공약이 총·대선을 지배했다.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 모두 만 0∼5세 보육료 지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승리한 박근혜 대통령은 즉각 해당 공약을 예산에 반영했다. ‘누리과정’ 예산이다. 박 대통령은 이외에 65세 이상 노인에게 20만원을 지급하는 ‘기초연금’도 공약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2년 대통령 당선 후 소감을 말하고 있다. |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