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수학여행이 재개된다. 교육부는 서너 학급 단위의 소규모로 진행할 것을 권장하는 한편 수학여행 계약 시 업체의 안전요원 배치를 의무화했다.
이와 관련해 중장기적으로 '수학여행 안전지도사'라는 국가자격이 신설된다.
30일 교육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의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 시행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교육부는 안전을 전제로 7월부터 수학여행을 재개하도록 했다. 이르면 여름방학 전인 다음달에 수학여행을 갈 수 있다.
수학여행 규모는 학생들의 개별화된 체험이 가능하도록 3∼4학급 이하로 권장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소규모 진행에 따른 비용 증가에 대해 근거리 지역 탐방,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협력으로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교원의 학생 인솔, 야간 생활지도, 유사시 학생안전지도 등을 지원하는 안전요원을 업체가 배치하도록 하는 조항을 수학여행 계약서에 명시하게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안전요원을 대체할 가칭 '수학여행 안전지도사'란 국가자격을 신설해 2017년부터 학교가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또 수학여행 계약 시 업체가 전세버스의 안전 정보를 학교에 제출하게 하고, 선박·항공 등의 출발 전 사업자의 안전교육 시행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켰거나 사고 예방에 소홀한 업체 또는 지역 등이 일정 기간 수학여행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입법도 추진한다.
교육부는 수학여행 전 학교의 요청을 받아 지자체가 숙박시설의 안전점검을 실시 후 학교에 통보해주는 '안심수학여행 서비스'를 현재 시행 중인 제주도에서 다른 지자체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매년 2월과 8월에는 '수학여행 안전점검 기간'을 설정해 관광단지, 수련·레저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범부처 합동안전 점검도 실시한다.
교육부는 5학급, 150명 이상의 대규모 수학여행에 따른 안전기준을 강화했다.
우선 학생·학부모의 동의를 받아야 하고, 학생 50명당 안전요원 1명 이상을 두도록 했다. 또 해당 학교는 시·도교육청의 점검과 컨설팅을 받아야 한다.
100∼150명 규모의 수학여행 시 해당 학교는 시·도교육지원청에 신고해야 하며 100명 미만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갈 수 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