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내내 더운 날씨인 자메이카는 아예 동계올림픽에 나설 꿈도 꾸지 못하다가 지난 1988캘러리 동계올림픽 때 간신히 팀을 꾸려 봅슬레이 경기에 나섰다. 경기 도중 썰매가 고장난 들고 뛰었던 그들의 이야기는 영화 '쿨러닝'으로 만들어져 큰 감동과 웃음을 선사했다.
2002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지 못하다가 예전 멤버들이 다시 뭉쳐 12년만에 출전권을 따냈던 자메이카 봅슬레이 대표팀은
출전에 필요한 경비 8만달러(8600만원)가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소치동계올림픽 조직위와 여러기업들이 후원금을 보내와 올림픽 무대를 밟게 됐다.
하지만 6일 자메이카 봅슬레이팀은 소치로 오는 도중 장비를 잃어버렸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당초 이들은 자메이카를 출발해 미국 뉴욕의 JFK공항에서 모스크바를 거쳐 소치로 올 예정이었다.
그러나 뉴욕 기상 악화로 비행기가 필라델피아로 기수를 돌리는 바람에 예약한 모스크바행 비행기를 놓쳤다.
간신히 JFK공항으로 와 다른 러시아행 비행기에 몸을 실어 모스크바를 경유해 소치에 도착한 자메이카 봅슬레이팀은 수화물 코너에서 자신들의 짐을 기다렸지만 도통 나오지 않았다.
12년만에 다시 조종간을 잡게 된 자메이카 봅슬레이팀의 파일럿 윈스턴 와트(47)는 "썰매, 헬멧, 스파이크, 유니폼 등 모든 것이 JFK공항과 소치 사이 어딘가에 있다"며 발을 동동 굴렸다.
소치 공항을 떠나 경기가 치러질 산악 클러스터의 산키 슬라이딩 센터 코스를 점검한 와트는 "다른 팀의 장비를 빌려서라도 예정대로 훈련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문제는 그들에게 장비를 빌려줄 팀을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점.
봅슬레이 썰매는 F1경기용차와 같이 최첨단 기술을 동원해 만든다. BMW, 포르쉐 등 세계최고의 자동차 메이커들이 운명을 걸고 썰매를 제작해 올림픽에 내 놓았기에 이런 귀중한 장비를 자메이카 대표팀 연습에 내놓으리 만무하다.
어쩌면 쿨러닝이라는 글자 그래도 자메이카 선수들은 맨발, 맨몸으로 봅슬레이 코스에 뛰어들지 모르겠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