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일하는 20대, 9년 새 82만명↓…올해도 고용 '암울'

입력 : 2014-01-19 20:03:08 수정 : 2014-01-19 22:17: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 청년층 취업 늘리기 부심 20대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9년 만에 5%포인트 가까이 떨어졌고, 올해도 고용시장 전망이 지극히 어둡다. 정부는 고교·전문대 졸업자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까지 모색하고 있다.

19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9세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4년 66.3%로 정점을 찍은 이후 줄곧 내리막을 걸으며 지난해 61.6%까지 떨어졌다. 2004년에는 20대 인구 707만명 가운데 469만명이 경제활동에 나섰지만 지난해에는 628만5000명 중 387만4000명에 그쳤다. 취업자 수 역시 이 기간 432만명에서 356만9000명으로 줄었다. 9년 만에 20대 경제활동인구는 81만6000명, 취업자는 75만1000명 줄어들었다.

연령대를 세분해보면 특히 20대 초반의 경제활동인구 축소가 두드러진다. 20∼24세의 경제활동인구는 2004년 58.3%에서 지난해 47.6%로 떨어졌다.

이정민 서강대 교수는 “과거보다 전반적으로 대학 진학률이 높아지고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시기가 늦춰지면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층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청년 취업시장 전망도 어둡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취업 포털 인크루트와 함께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자리 기상도’를 조사한 결과, 채용계획을 확정한 243개사의 채용 예정 인원은 3만90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방식의 조사에서 나온 3만1372명(288개사 채용계획 확정 응답)보다 1.5% 적다.

정부는 청년 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각 부처별로 운영 중인 청년 고용·창업 등 정보를 한 곳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축해 일·학습 병행제 등 고용 관련 정책, 직업 교육과 소개, 각종 창업 정보 등을 함께 묶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청년층 고용문제에 대해 학력, 연령별로 세분화해 맞춤형으로 접근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특히 고졸자와 전문대 졸업자 계층의 취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을 크게 밑돈다는 점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각종 세제·예산 지원책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활성화하는 차원에서 일정 기간 재직한 이후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근로자에게 학비를 지원하거나 소득공제를 하는 방안, 취업 경험자나 재직자 특별전형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기업 수요에 맞게 전문대의 직업 교육을 확대하고 공기업이나 공무원, 대기업 등을 원하는 눈높이가 높은 대졸자에게 우수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취업을 유도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청년 취업은 고용률뿐 아니라 고용의 질도 중요하다”며 “전반적인 산업구조 전망에 기초해 각각의 계층에 맞는 대책을 고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고용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 의제로 설정한 만큼 취업 희망자들이 단계적으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살펴 제도적인 보완책을 제시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빨리 잡을 수 있도록 교량을 만들어주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