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8일 “한국경제가 가까스로 회복세로 접어들었는데 여기서 다시 주저앉으면 당분간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환율이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변수가 수그러든 상황에서 한국경제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것은 바로 환율”이라며 “지난 23일 정부와 한국은행이 공동개입에 나선 것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재부와 한은은 지난 2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054.5원으로 연중 최저점을 찍자 2008년 7월 이후 5년 만에 공동으로 개입, 환율을 1060원대로 끌어올린 바 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도 앞서 “섣불리 하지는 않겠지만 원화가치 상승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거시건전성 3종 세트(선물환포지션·외국인 채권투자 과세·외환건전성부담금)를 포함해 여러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25일 “(환율) 변동성이 너무 크지 않게 하는 여러 수단이 있다”고 말해 최근 환율 움직임에 대한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김 총재는 최근 유입된 외국 자본과 관련, “핫머니(단기적 투기자본)인지 유심히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귀전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